AD
군 당국이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일부 취약점을 드러낸 거로 분석된 아파치 헬기 도입을 재검토하면서, 제조사인 보잉이 직접 반박에 나섰습니다.
크리스티나 유파 보잉사 부사장은 오늘(12일) 진행한 미디어 브리핑에서 드론을 포함한 어떤 무인 시스템도 공격용 헬기, 아파치를 대체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크리스티나 부사장은 아파치 헬기는 최신 기술로 변화하는 전장의 요구 조건들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며 유·무인기를 함께 쓰는 것이 현대전에 가장 적합한 형태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서 조종사 출신인 TJ 제이미슨 사업 개발 디렉터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공유된 영상 대부분은 주간에 촬영됐다며, 시모스를 비롯한 레이더 시스템으로 아파치 헬기는 야간에도 운용이 용이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나무와 숲이 많은 한반도 지형 특성상 드론 운용보다는, 헬기가 훨씬 더 미사일 위협에 노출될 우려 없이 전투에 유리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미국 국무부가 승인한 아파치 판매 가격이 높게 책정된 것에 대해선, 아파치 헬기 그 자체 값보다는 미 시스템 특성상 교육과 무장을 비롯한 패키지 가격으로 공시해야 했다며, 헬기 가격 자체는 저렴하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와 같이 러시아로부터 안보 위협을 받는 폴란드가, 자체 분석에 따라 아파치헬기 96대를 구매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앞서 방위사업청은 그동안 3조3천억 원 규모인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으로 현행 운용 중인 아파치에 더해 36대를 추가 도입하려고 추진해왔지만, 실효성 등 문제로 지난해 말부터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적 전차를 무력화하는 데 특화된 것으로 평가되는 공격용 헬기 아파치는 육군이 지난 2017년 1월, 모두 36대를 미국에서 도입해 운용하고 있습니다.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크리스티나 유파 보잉사 부사장은 오늘(12일) 진행한 미디어 브리핑에서 드론을 포함한 어떤 무인 시스템도 공격용 헬기, 아파치를 대체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크리스티나 부사장은 아파치 헬기는 최신 기술로 변화하는 전장의 요구 조건들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며 유·무인기를 함께 쓰는 것이 현대전에 가장 적합한 형태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서 조종사 출신인 TJ 제이미슨 사업 개발 디렉터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공유된 영상 대부분은 주간에 촬영됐다며, 시모스를 비롯한 레이더 시스템으로 아파치 헬기는 야간에도 운용이 용이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나무와 숲이 많은 한반도 지형 특성상 드론 운용보다는, 헬기가 훨씬 더 미사일 위협에 노출될 우려 없이 전투에 유리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미국 국무부가 승인한 아파치 판매 가격이 높게 책정된 것에 대해선, 아파치 헬기 그 자체 값보다는 미 시스템 특성상 교육과 무장을 비롯한 패키지 가격으로 공시해야 했다며, 헬기 가격 자체는 저렴하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와 같이 러시아로부터 안보 위협을 받는 폴란드가, 자체 분석에 따라 아파치헬기 96대를 구매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앞서 방위사업청은 그동안 3조3천억 원 규모인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으로 현행 운용 중인 아파치에 더해 36대를 추가 도입하려고 추진해왔지만, 실효성 등 문제로 지난해 말부터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적 전차를 무력화하는 데 특화된 것으로 평가되는 공격용 헬기 아파치는 육군이 지난 2017년 1월, 모두 36대를 미국에서 도입해 운용하고 있습니다.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