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국방부 국회협력단에 ’길 안내’ 여부 질의
계엄 당일, 전 수방사령관과의 전화 내용 추궁
국민의힘, 실제 ’길 안내’ 이뤄졌는지 질의
계엄 당일, 전 수방사령관과의 전화 내용 추궁
국민의힘, 실제 ’길 안내’ 이뤄졌는지 질의
AD
[앵커]
내란혐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에서 여야는 군 실무 간부의 증언을 통해 12·3 비상계엄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특히 국회에 투입된 군 협력단에 계엄군을 위한 길 안내 지시가 내려왔는지, 그리고 실제 행동으로 옮겨졌는지 등이 쟁점이 됐습니다.
임성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민주당은 국정조사특위 4차 청문회에서, 국회 사정을 잘 아는 국방부 파견 인력마저 군의 진입 과정에 관여했는지를 규명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계엄 당일, 국방부 국회협력단이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한테서 여러 차례 받은 통화 내용을 캐물었습니다.
[민병덕 / 더불어민주당 의원 : (계엄 선포 당일) 23시부터 수방사령관에게 전화하시거나 또는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전화가 왔죠? ]
[양재응 / 국방부 국회협력단장 : 총 여덟 차례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했습니다. / 저는 거듭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하였습니다.]
이에 국민의힘은 국회의사당에 진입한 군 병력에 실제 길 안내가 이뤄지진 않았다고 맞섰습니다.
복수의 실무 간부 증언을 바탕으로 길 안내는 물론, 실무급들 차원에선 협력관과의 통화가 없었다는 점을 부각했습니다.
[한기호 / 국민의힘 의원 : 12월 3일 날 협력단장으로부터 길 안내를 받으셨습니까? / 길 안내를 받으셨어요?]
[김창학 / 수도방위사령부 군사경찰단장 : (길 안내) 받았다는 보고는 못 받았습니다. / 통화를 하지 않았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인 '국회의원 체포 지시'가 있었는지 여부도 다시금 화두가 됐습니다.
야당은 윤 대통령 지시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뿐 아니라, 곽 전 사령관을 거쳐 휘하 간부들에게까지 전달됐다는 점을 재확인했고,
[백혜련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대통령이 국회의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을 끌어내라. 그리고 필요하면 전기를 차단하더라도 (곽 전 사령관에게) 이런 지시를 했기 때문에 (이 지시를 전달받은 거죠?)]
[이상현 / 특전사 1공수여단장 : '대통령님께서 그런 지시를 하셨다는 말씀이십니까' 하고 복명복창을 했는데 '응' 하고 약간 이렇게 주저하시는 목소리를 하면서 (곽 전 사령관이) 전화 끊으셨습니다.]
여당은 군 소속 법무 인력의 증언을 빌어, '체포 지시' 논란의 시발점이 된 홍장원 전 국정원 차장의 진술과 메모는 신빙성이 없다고 맞섰습니다.
[장동혁 / 국민의힘 의원 : CCTV 영상과 같은 것에 의해서 탄핵이 된다면 법무관리관은 그 증거를 재판의 핵심 증거, 중요한 증거로 사용하실 수 있겠습니까?]
[홍창식 / 국방부 법무관리관 : 아무래도 증명력은 좀 떨어진다고 봅니다. / 제가 그것을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청문회장에선 또 707특임단의 케이블 타이가 포박용인지, 문 봉쇄용인지를 두고 여야가 거듭 치열한 공방을 벌였습니다.
청문회 초반 야당 주도로 발부된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장관 동행명령장을 놓고도 거친 고성이 오갔습니다.
YTN 임성재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 임종문
YTN 임성재 (lsj6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내란혐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에서 여야는 군 실무 간부의 증언을 통해 12·3 비상계엄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특히 국회에 투입된 군 협력단에 계엄군을 위한 길 안내 지시가 내려왔는지, 그리고 실제 행동으로 옮겨졌는지 등이 쟁점이 됐습니다.
임성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민주당은 국정조사특위 4차 청문회에서, 국회 사정을 잘 아는 국방부 파견 인력마저 군의 진입 과정에 관여했는지를 규명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계엄 당일, 국방부 국회협력단이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한테서 여러 차례 받은 통화 내용을 캐물었습니다.
[민병덕 / 더불어민주당 의원 : (계엄 선포 당일) 23시부터 수방사령관에게 전화하시거나 또는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전화가 왔죠? ]
[양재응 / 국방부 국회협력단장 : 총 여덟 차례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했습니다. / 저는 거듭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하였습니다.]
이에 국민의힘은 국회의사당에 진입한 군 병력에 실제 길 안내가 이뤄지진 않았다고 맞섰습니다.
복수의 실무 간부 증언을 바탕으로 길 안내는 물론, 실무급들 차원에선 협력관과의 통화가 없었다는 점을 부각했습니다.
[한기호 / 국민의힘 의원 : 12월 3일 날 협력단장으로부터 길 안내를 받으셨습니까? / 길 안내를 받으셨어요?]
[김창학 / 수도방위사령부 군사경찰단장 : (길 안내) 받았다는 보고는 못 받았습니다. / 통화를 하지 않았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인 '국회의원 체포 지시'가 있었는지 여부도 다시금 화두가 됐습니다.
야당은 윤 대통령 지시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뿐 아니라, 곽 전 사령관을 거쳐 휘하 간부들에게까지 전달됐다는 점을 재확인했고,
[백혜련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대통령이 국회의 문을 부수고 국회의원을 끌어내라. 그리고 필요하면 전기를 차단하더라도 (곽 전 사령관에게) 이런 지시를 했기 때문에 (이 지시를 전달받은 거죠?)]
[이상현 / 특전사 1공수여단장 : '대통령님께서 그런 지시를 하셨다는 말씀이십니까' 하고 복명복창을 했는데 '응' 하고 약간 이렇게 주저하시는 목소리를 하면서 (곽 전 사령관이) 전화 끊으셨습니다.]
여당은 군 소속 법무 인력의 증언을 빌어, '체포 지시' 논란의 시발점이 된 홍장원 전 국정원 차장의 진술과 메모는 신빙성이 없다고 맞섰습니다.
[장동혁 / 국민의힘 의원 : CCTV 영상과 같은 것에 의해서 탄핵이 된다면 법무관리관은 그 증거를 재판의 핵심 증거, 중요한 증거로 사용하실 수 있겠습니까?]
[홍창식 / 국방부 법무관리관 : 아무래도 증명력은 좀 떨어진다고 봅니다. / 제가 그것을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청문회장에선 또 707특임단의 케이블 타이가 포박용인지, 문 봉쇄용인지를 두고 여야가 거듭 치열한 공방을 벌였습니다.
청문회 초반 야당 주도로 발부된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장관 동행명령장을 놓고도 거친 고성이 오갔습니다.
YTN 임성재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 임종문
YTN 임성재 (lsj6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