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북한이 최근 전선에서 철책 보강 작업을 진행하다 지뢰가 폭발해 다수 사상자가 발생한 거로 군 당국이 파악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늘(27일) '북한군 동향' 자료를 통해 이 내용을 공개하며 이달 초부터 진행된 전선지역 철책 보강사업 도중 올해 처음으로 이 같은 사고가 발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합참은 이 작업에 최대 수백 명이 투입됐는데, 교대 투입병력이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작업하다 해당 사고가 발생했고, 지난해엔 비슷한 사고가 20여 회 정도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이와 함께 합참은 고체추진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 등을 발사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고, 군사정찰위성은 러시아의 지원으로 기술을 보완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또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들은 지난해 만1천여 명에 이어 지난 1~2월 사이 모두 3천 명이 넘는 인원이 추가 파병된 거로 파악됐고, 단거리탄도미사일, SRBM 상당량과 170mm 자주포·240mm 방사포 220여 문이 러시아에 지원된 거로 분석했습니다.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합동참모본부는 오늘(27일) '북한군 동향' 자료를 통해 이 내용을 공개하며 이달 초부터 진행된 전선지역 철책 보강사업 도중 올해 처음으로 이 같은 사고가 발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합참은 이 작업에 최대 수백 명이 투입됐는데, 교대 투입병력이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작업하다 해당 사고가 발생했고, 지난해엔 비슷한 사고가 20여 회 정도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이와 함께 합참은 고체추진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 등을 발사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고, 군사정찰위성은 러시아의 지원으로 기술을 보완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또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들은 지난해 만1천여 명에 이어 지난 1~2월 사이 모두 3천 명이 넘는 인원이 추가 파병된 거로 파악됐고, 단거리탄도미사일, SRBM 상당량과 170mm 자주포·240mm 방사포 220여 문이 러시아에 지원된 거로 분석했습니다.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