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가정보원은 병원 전산시스템과 의료 정보 등을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병원정보시스템 보안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가이드라인에는 의료·외부 연계 시스템, 환자 포털 등 병원정보시스템 6개 영역에 대한 보안 모델 표준과 분야별 보안 대책이 담겼습니다.
국정원은 북한이 올해를 보건혁명의 원년으로 선포한 이후 해킹조직을 동원해 의료기관 관계자에게 해킹 메일을 대량 살포하는 등 의료정보와 기술 절취를 시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정원 관계자는 북한 등 불순 해킹 세력들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의료 정보 시스템을 노린 사이버 공격을 노골화하고 있다며 병원, 관계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안전하게 의료서비스를 받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번 가이드라인에는 의료·외부 연계 시스템, 환자 포털 등 병원정보시스템 6개 영역에 대한 보안 모델 표준과 분야별 보안 대책이 담겼습니다.
국정원은 북한이 올해를 보건혁명의 원년으로 선포한 이후 해킹조직을 동원해 의료기관 관계자에게 해킹 메일을 대량 살포하는 등 의료정보와 기술 절취를 시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정원 관계자는 북한 등 불순 해킹 세력들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의료 정보 시스템을 노린 사이버 공격을 노골화하고 있다며 병원, 관계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안전하게 의료서비스를 받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