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 파면의 충격 속 조기 대선 체제 전환을 준비하는 가운데 '계파 갈등'이 주요 뇌관으로 떠올랐습니다.
파면 당일 의원들이 단체 대화방에서 날 선 발언을 주고받기도 했는데 대선 승리를 위해 당내 통합이 선결 과제인 만큼 지도부 고심도 깊어지는 분위기입니다.
김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의원총회에서 신임을 사실상 재확인한 '쌍권' 지도부, 두 달 뒤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하겠단 각오를 다졌습니다.
[권성동 / 국민의힘 원내대표 (4일, 탄핵 인용 결정 직후) : 절대로 물러설 수 없고 져서는 안 될 선거입니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험천만한 이재명 세력에게 맡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음 주부터 본격 가동될 조기 대선 체제, '계파 갈등'이 선거 국면 초반 변수로 거론됩니다.
실제 의총에서 '친윤' 김기현 의원은 "우리는 폐족이 됐다,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끼리 전열을 재정비하자"며 사실상 탄핵 찬성파를 겨냥했습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대선 승리보다 대선 이후 당권과 공천에만 관심을 둔 행보'라거나,
'당 대표로서 대통령에게 직언하지 못한 책임이 적지 않은데 부적절한 발언을 했다'는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의총 발언 유출 논란'을 두고도 계파 간 신경전은 이어졌습니다.
관련 보도에 일부 친윤계 의원들이 '누가 발언을 생중계하느냐'며 친한계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자 공개 반박이 나온 겁니다.
배현진 의원은 의원총회가 끝난 뒤 의원 단체 대화방에서 윤상현 의원을 향해 "의총 중간에 나가서 내용을 다 브리핑하지 않았느냐"며,
"마이크가 좋다고 말씀을 가벼이 하지 말고 자중하라"고 지적했습니다.
여기에 "누가 누설했냐고 언성 높이고 손가락질 한 건 '블랙 코미디'가 따로 없다"고도 적었는데,
이른바 윤-한 갈등, 또 비상계엄 해제와 탄핵 찬반 등을 고리로 누적돼 온 '친한'과 '친윤' 사이 앙금을 드러낸 거란 해석이 적잖습니다.
물론 의총장에서 친윤계의 날 선 발언은 '탄핵 찬성파' 전체보단 김상욱 의원 등 탄핵 정국에서 언론 노출이 잦았던 일부를 겨냥했단 분석이 더 지배적입니다.
[박덕흠 / 국민의힘 의원 (4일) : 탄핵에 찬성한 분들을 같이 통틀어서 얘기한 건 아니고, 생각·뜻·이념이 같지 않은 분들은 같이 할 수 없지 않으냐….]
조기 대선 정국 초기 계파 갈등 진화 실패와 잡음 부각은 선거 패배 지름길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지도부 역시 중진 간담회 등을 통해 균열 봉합 방안을 모색할 거로 보입니다.
YTN 김철희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영상편집 : 김희정
디자인 : 전휘린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 파면의 충격 속 조기 대선 체제 전환을 준비하는 가운데 '계파 갈등'이 주요 뇌관으로 떠올랐습니다.
파면 당일 의원들이 단체 대화방에서 날 선 발언을 주고받기도 했는데 대선 승리를 위해 당내 통합이 선결 과제인 만큼 지도부 고심도 깊어지는 분위기입니다.
김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의원총회에서 신임을 사실상 재확인한 '쌍권' 지도부, 두 달 뒤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하겠단 각오를 다졌습니다.
[권성동 / 국민의힘 원내대표 (4일, 탄핵 인용 결정 직후) : 절대로 물러설 수 없고 져서는 안 될 선거입니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험천만한 이재명 세력에게 맡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음 주부터 본격 가동될 조기 대선 체제, '계파 갈등'이 선거 국면 초반 변수로 거론됩니다.
실제 의총에서 '친윤' 김기현 의원은 "우리는 폐족이 됐다,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끼리 전열을 재정비하자"며 사실상 탄핵 찬성파를 겨냥했습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대선 승리보다 대선 이후 당권과 공천에만 관심을 둔 행보'라거나,
'당 대표로서 대통령에게 직언하지 못한 책임이 적지 않은데 부적절한 발언을 했다'는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의총 발언 유출 논란'을 두고도 계파 간 신경전은 이어졌습니다.
관련 보도에 일부 친윤계 의원들이 '누가 발언을 생중계하느냐'며 친한계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자 공개 반박이 나온 겁니다.
배현진 의원은 의원총회가 끝난 뒤 의원 단체 대화방에서 윤상현 의원을 향해 "의총 중간에 나가서 내용을 다 브리핑하지 않았느냐"며,
"마이크가 좋다고 말씀을 가벼이 하지 말고 자중하라"고 지적했습니다.
여기에 "누가 누설했냐고 언성 높이고 손가락질 한 건 '블랙 코미디'가 따로 없다"고도 적었는데,
이른바 윤-한 갈등, 또 비상계엄 해제와 탄핵 찬반 등을 고리로 누적돼 온 '친한'과 '친윤' 사이 앙금을 드러낸 거란 해석이 적잖습니다.
물론 의총장에서 친윤계의 날 선 발언은 '탄핵 찬성파' 전체보단 김상욱 의원 등 탄핵 정국에서 언론 노출이 잦았던 일부를 겨냥했단 분석이 더 지배적입니다.
[박덕흠 / 국민의힘 의원 (4일) : 탄핵에 찬성한 분들을 같이 통틀어서 얘기한 건 아니고, 생각·뜻·이념이 같지 않은 분들은 같이 할 수 없지 않으냐….]
조기 대선 정국 초기 계파 갈등 진화 실패와 잡음 부각은 선거 패배 지름길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지도부 역시 중진 간담회 등을 통해 균열 봉합 방안을 모색할 거로 보입니다.
YTN 김철희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영상편집 : 김희정
디자인 : 전휘린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