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이재명 심판 선거" vs 민주 "국민의힘, 후보 낼 자격 없어"

국민의힘 "대선, 이재명 심판 선거" vs 민주 "국민의힘, 후보 낼 자격 없어"

2025.04.07. 오후 1:5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정치권은 조기 대선 채비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오늘 당 선관위를 출범시킨 국민의힘은 이번 대선은 이재명 대표 심판 선거가 될 거라고 주장했고, 이에 민주당은 조기 대선의 원인을 제공한 당은 후보를 낼 자격이 없다고 맞받았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황보혜경 기자!

[기자]
국회입니다.

[앵커]
국민의힘이 체제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요?

[기자]
국민의힘은 오늘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대선 경선을 관리할 선거관리위원장에 황우여 전 비대위원장을 임명했습니다.

황 전 위원장이 5선 의원으로 내부 사정을 잘 아는 데다,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할 적임자라는 배경 설명입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또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집권당의 책임을 다하지 못해 국민께 송구하다고 거듭 사과했습니다.

다만 8개 사건에서 재판을 받는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정조준하며, 이번 탄핵으로 면죄부가 주어진 게 아니라고 역공을 펼쳤습니다.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권영세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실제로는 분열정치를 연장하여 나라와 국민이 어떻게 되든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을 챙기려는 것입니다. 민주당은 대통령 탄핵이 이재명과 민주당의 면죄부가 아님을 깨달아야 합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민주당은 국정혼란에 어떤 책임도 지지 않았다며, 조기 대선은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을 심판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처럼 당 지도부는 대선 승리를 목표로 내부 단결을 강조하고 있지만,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 문제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습니다.

중도층 민심을 고려해 하루빨리 절연해야 한단 의견과 이에 반대하는 의견이 맞서고 있는데,

당 핵심 관계자는 YTN과의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이 보수 정권 재창출을 원한다면 죄송하다는 메시지 외엔 침묵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민주당 분위기도 전해주시죠.

[기자]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이 나라를 망치고 쫓겨났는데도 여전히 정신을 못 차린다고 맹비난했습니다.

파면된 윤 전 대통령을 혼내는 척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당에서 제명하라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들어보시겠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지난 3년 동안 국민이 맡긴 권력과 국민이 낸 세금으로 대통령 놀이하고 권력 놀음하다가 나라를 이렇게 망치고…. 그 내란수괴를 여전히 끌어안고 같이 가겠다는 겁니까? 왜 제지하지 않습니까?]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도 재보궐선거 원인을 제공한 당은 대선후보를 낼 자격이 없다면서 염치가 있다면 후보를 내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역시 30일 안에 후보 경선을 마무리해야 하는 만큼 속도전에 돌입했습니다.

유력 주자인 이재명 대표가 조만간 대표직을 내려놓고 경선 참여를 선언할 거로 보이는데, 정확한 사퇴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이르면 내일 국무회의에서 대선일이 확정된 직후 사퇴할 수도 있지만, 대장동 재판이 있는 날이라 다음 날인 9일쯤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큽니다.

사퇴 직후 박찬대 원내대표가 직무대행을 맡으며 민주당은 본격 경선 체제에 돌입하게 됩니다.

오늘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을 시작으로 비이재명계 주자들도 속속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재명 대표 독주 체제가 굳어지면서 당내 경선은 형식에 그칠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

[앵커]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헌 국민투표 제안을 두고 정치권 반응은 어떤가요?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은 어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조기 대선 날 개헌 국민투표도 함께 치르자고 제안했습니다.

특히 정치갈등의 원인으로 지목된 제왕적 대통령제 개편만이라도 우선 처리하자고 했습니다.

이에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아침 지도부 회의에서 개헌에 나서겠다고 화답했습니다.

거대 야당의 등장으로 '제왕적 국회'도 출현했다면서 대통령뿐만 아니라 국회 권한도 균형 있게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국민의 뜻을 제대로 반영한 개헌안을 마련해 대통령 선거일에 함께 국민투표에 부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개헌 필요성을 인정한다면서도 지금은 내란 종식이 우선이란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대통령 4년 중임제 방식엔 공감하지만, 논쟁 여지가 큰 만큼 5·18 광주정신을 헌법 전문에 게재하고 계엄 요건을 강화하는 개헌부터 추진하자고 역제안했습니다.

또 대선 사전투표 땐 개헌 국민투표를 할 수 없는 만큼 이번 주 안에 국민투표법을 개정해야 한다며 최대한 신속하게 개정이 이뤄질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양당 지도부 입장에 우원식 의장은 정당끼리 합의한 만큼 개헌하면 된다고 환영하면서 서둘러 국민투표법 개정을 위한 협의에 나서자고 촉구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황보혜경입니다.



YTN 황보혜경 (bohk101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