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헌법을 바꾸려면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할까요.
그래픽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개정된 헌법조항이 담긴 개헌안을 발의해야겠죠.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나 대통령이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대통령이 없죠.
과반수 국회의원이 발의해야 하고, 발의한 개헌안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칩니다.
심의를 거친 헌법개정안은 20일 이상 공고돼야 합니다.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서인데요.
바뀌는 헌법이 무슨 내용인지 국민인 우리가 충분히 알고 공론화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죠.
공고된 날부터 60일 안에 국회는 의결을 마쳐야 합니다.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표를 던져야 개헌안이 통과되고요.
가장 중요한 마지막 절차, 국민투표가 남았습니다.
국회 의결 후 30일 안에 개헌안이 국민투표에 부쳐집니다.
18살 이상 성인은 투표할 수 있고요.
과반수 투표, 과반수 찬성을 얻으면 개헌안이 확정되고 즉시 공포됩니다.
YTN 한동오 (hdo8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래픽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개정된 헌법조항이 담긴 개헌안을 발의해야겠죠.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나 대통령이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대통령이 없죠.
과반수 국회의원이 발의해야 하고, 발의한 개헌안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칩니다.
심의를 거친 헌법개정안은 20일 이상 공고돼야 합니다.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서인데요.
바뀌는 헌법이 무슨 내용인지 국민인 우리가 충분히 알고 공론화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죠.
공고된 날부터 60일 안에 국회는 의결을 마쳐야 합니다.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표를 던져야 개헌안이 통과되고요.
가장 중요한 마지막 절차, 국민투표가 남았습니다.
국회 의결 후 30일 안에 개헌안이 국민투표에 부쳐집니다.
18살 이상 성인은 투표할 수 있고요.
과반수 투표, 과반수 찬성을 얻으면 개헌안이 확정되고 즉시 공포됩니다.
YTN 한동오 (hdo8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