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연사흘 논의한 끝에 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을 채택하기로 잠정결론을 내렸습니다.
해당 방식을 반대해온 비이재명계 주자들은 일방적 결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서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준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민주당 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대선 경선을 치르기로 잠정 결론을 냈습니다.
하지만 후보자와 당원들을 상대로 설명하는 과정을 별도로 거치겠다며, 확정은 하루 미뤘습니다.
[이춘석 / 더불어민주당 대선 특별당규준비위원장 : 어느 누구도 흔쾌히 받아들이긴 어려운 안을 만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동안 비이재명계 주자들은 이재명 예비후보 지지세가 높은 당원 비중을 따로 두지 않는 '국민경선' 방식을 선호해 왔습니다.
게다가 각 주자들 의견 수렴도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며, '어대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란 것이냔 반발도 이어졌습니다.
[고영인 / 김동연 경기도지사 대리인 : 앞으로 그런 식으로 된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심각하게 고민할 수밖에, 요정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유력 주자'로 꼽히는 이재명 예비후보는 규칙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뜻을 직접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 합리적으로 국민과 당원 뜻에 따른 어떤 결정도 다 수용하겠습니다.]
그럼에도 당원들은 당원 비중을 높여 당원 중심주의를 실현하라며 '문자 폭탄'을 쏟아냈고,
특히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선거인단을 꾸렸을 때, 보수 성향 지지자들의 '역선택' 파도가 들이닥칠 수 있단 우려가 이번 결론에 반영됐단 관측이 나옵니다.
이재명 예비후보의 강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경선 규칙'을 둘러싼 잡음은 불필요할 거라는 전망과 달리,
마라톤 회의 끝에 비명계 주자들이 반대하는 쪽의 결론이 나면서, 논란도 뒤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준엽입니다.
촬영기자;이상은 이승창
영상편집;양영운
디지인;김진호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더불어민주당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연사흘 논의한 끝에 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을 채택하기로 잠정결론을 내렸습니다.
해당 방식을 반대해온 비이재명계 주자들은 일방적 결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서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준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민주당 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대선 경선을 치르기로 잠정 결론을 냈습니다.
하지만 후보자와 당원들을 상대로 설명하는 과정을 별도로 거치겠다며, 확정은 하루 미뤘습니다.
[이춘석 / 더불어민주당 대선 특별당규준비위원장 : 어느 누구도 흔쾌히 받아들이긴 어려운 안을 만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동안 비이재명계 주자들은 이재명 예비후보 지지세가 높은 당원 비중을 따로 두지 않는 '국민경선' 방식을 선호해 왔습니다.
게다가 각 주자들 의견 수렴도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며, '어대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란 것이냔 반발도 이어졌습니다.
[고영인 / 김동연 경기도지사 대리인 : 앞으로 그런 식으로 된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심각하게 고민할 수밖에, 요정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유력 주자'로 꼽히는 이재명 예비후보는 규칙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뜻을 직접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 합리적으로 국민과 당원 뜻에 따른 어떤 결정도 다 수용하겠습니다.]
그럼에도 당원들은 당원 비중을 높여 당원 중심주의를 실현하라며 '문자 폭탄'을 쏟아냈고,
특히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선거인단을 꾸렸을 때, 보수 성향 지지자들의 '역선택' 파도가 들이닥칠 수 있단 우려가 이번 결론에 반영됐단 관측이 나옵니다.
이재명 예비후보의 강세가 뚜렷한 상황에서 '경선 규칙'을 둘러싼 잡음은 불필요할 거라는 전망과 달리,
마라톤 회의 끝에 비명계 주자들이 반대하는 쪽의 결론이 나면서, 논란도 뒤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준엽입니다.
촬영기자;이상은 이승창
영상편집;양영운
디지인;김진호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