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조기 대선 국면 속에 차기 대통령 집무실 이전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현 용산 집무실을 그대로 쓸지 아님 청와대나 세종으로 갈지, 각 주자의 입장을 김다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차기 대통령에게는 서울 용산 집무실 입주와 청와대로의 복귀, 세종으로의 이전이라는 세 가지 선택지가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지난 대선 때도 '세종 대통령실'을 공약했던 민주당 이재명 예비후보는 이번에도 같은 계획을 방안 중 하나로 검토하고 있는 거로 알려졌습니다.
[정성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 (1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던 주범들이 모였던 장소가 거기 아닙니까? 그런데 어떻게 (용산 집무실에) 다시 들어가겠습니까.]
국민의힘 일부 주자들도 용산 집무실이 썩 내키진 않는 눈치입니다.
홍준표 전 시장은 용산 집무실을 주술과 불통의 공간으로 규정했고, 안철수 의원도 청와대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안철수 / 국민의힘 의원 (8일) : 청와대의 규모를 좀 줄여서 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경호를 잘하게 만들고….]
당선 전부터 특정 장소에 호불호를 굳이 밝히기보다 신중론을 유지하기도 합니다.
[김문수 / 고용노동부 전 장관 (10일) : 우리 대통령은 오랫동안 청와대에서 근무했잖아요. 여러 가지를 검토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없이 바로 직무를 시작해야 하는데 집무실 장소를 언급하는 건 소모적이라거나 섣부르다는 현실주의적 시각도 있습니다.
[나경원 / 국민의힘 의원 (12일) : 집무실 이전 여부가 주요한 쟁점이 되는 대선은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가지에 집중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한동훈 / 국민의힘 전 대표 (10일) : 정말 중요한 건 일을 얼마나 잘하고 열심히 하려는 가에 대한 각오라고 생각해요. 미리 말할 얘기도 아닌 거 같습니다.]
집무실 이전은 대선의 단골 공약이었지만, 이번에는 찾기 힘든 분위기입니다.
윤 전 대통령의 상징인 용산 집무실을 그대로 쓰자니 새 정권에 부담일 수 있고 옮기자니 세금이 들어, 대선 주자들의 셈법이 복잡해 보입니다.
YTN 김다연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 한경희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조기 대선 국면 속에 차기 대통령 집무실 이전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현 용산 집무실을 그대로 쓸지 아님 청와대나 세종으로 갈지, 각 주자의 입장을 김다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차기 대통령에게는 서울 용산 집무실 입주와 청와대로의 복귀, 세종으로의 이전이라는 세 가지 선택지가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지난 대선 때도 '세종 대통령실'을 공약했던 민주당 이재명 예비후보는 이번에도 같은 계획을 방안 중 하나로 검토하고 있는 거로 알려졌습니다.
[정성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 (1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던 주범들이 모였던 장소가 거기 아닙니까? 그런데 어떻게 (용산 집무실에) 다시 들어가겠습니까.]
국민의힘 일부 주자들도 용산 집무실이 썩 내키진 않는 눈치입니다.
홍준표 전 시장은 용산 집무실을 주술과 불통의 공간으로 규정했고, 안철수 의원도 청와대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안철수 / 국민의힘 의원 (8일) : 청와대의 규모를 좀 줄여서 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경호를 잘하게 만들고….]
당선 전부터 특정 장소에 호불호를 굳이 밝히기보다 신중론을 유지하기도 합니다.
[김문수 / 고용노동부 전 장관 (10일) : 우리 대통령은 오랫동안 청와대에서 근무했잖아요. 여러 가지를 검토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없이 바로 직무를 시작해야 하는데 집무실 장소를 언급하는 건 소모적이라거나 섣부르다는 현실주의적 시각도 있습니다.
[나경원 / 국민의힘 의원 (12일) : 집무실 이전 여부가 주요한 쟁점이 되는 대선은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가지에 집중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한동훈 / 국민의힘 전 대표 (10일) : 정말 중요한 건 일을 얼마나 잘하고 열심히 하려는 가에 대한 각오라고 생각해요. 미리 말할 얘기도 아닌 거 같습니다.]
집무실 이전은 대선의 단골 공약이었지만, 이번에는 찾기 힘든 분위기입니다.
윤 전 대통령의 상징인 용산 집무실을 그대로 쓰자니 새 정권에 부담일 수 있고 옮기자니 세금이 들어, 대선 주자들의 셈법이 복잡해 보입니다.
YTN 김다연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한상원
영상편집 : 한경희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