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가 오늘은 대구를 찾았습니다.
TK 지역과 부울경을 겨냥한 공약을 쏟아내며, 연이틀 광폭 행보를 이어가는 분위기입니다.
국민의힘에선 내일 1차 토론회를 앞두고 비전대회를 진행합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임성재 기자!
[기자]
국회입니다.
[앵커]
이재명 예비후보의 일정과 공약 발표 내용,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이재명 예비후보가 전통적으로 보수 지지세가 강한 대구를 찾았습니다.
어제 충청권을 찾은 데 이어 연이틀 지역 행보를 이어가는 겁니다.
대구 방문 전 SNS에 글을 올린 이 후보는 TK 지역을 방문하는 소감과 함께 '맞춤형 공약'도 내놨습니다.
먼저, 이 후보는 자신은 안동에 태를 묻고 제 뼈와 살과 피를 만들어 준 대구·경북의 아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그러면서 대구·경북 출신의 민주당 경선 후보로 지역의 재도약을 이끌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한 공약으로 대구·구미·포항을 글로벌 이차전지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는 등 공약 등을 공개했습니다.
부·울·경 지역을 겨냥해선 '부울경 메가시티'를 대한민국 해양 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특히 가덕도 신공항과 동남권 철도 사업을 차질 없이 준비하고,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이 후보는 또 대구에서 웹툰 업계 종사자들과 간담회도 열었는데, 글로벌 소프트 파워 빅5의 문화 강국으로 거듭나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이 같은 광폭 행보에는 비교적 약세 지역으로 꼽히는 지역에서 먼저 '민심 다지기'에 나선 거란 해석도 적잖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늘 저녁에는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이 참석하는 첫 TV 토론회가 열립니다.
김경수·김동연 경선 후보는 TV 토론회 준비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대선 경선 과정이 치열한 국민의힘도 오늘 관련 일정을 이어가죠?
[기자]
대선 경선 후보자 8명을 추린 국민의힘은 주말 토론회 전 비전 대회를 엽니다.
각 후보자가 한자리에 모여 자신의 정책이나 공약을 자유롭게 발표하는 자리인데요,
다양한 후보를 바탕으로 경선 흥행을 이끌어 내고, 종국적으로는 본선에서 '역전'을 이끌어 내겠다는 복안이 깔린 거로 보입니다.
누구 하나 뚜렷한 '1등 주자'라고 꼽기 어려운 만큼, 물밑에선 치열한 신경전이 이어지는 기류도 읽힙니다.
주로 '3강'으로 꼽히는 김문수·홍준표·한동훈 예비후보들이 중심입니다.
김문수 후보 캠프는 원내 인사를 포함한 세력 다지기에 주력하는 분위기입니다.
조금 전엔 재선 장동혁 의원과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이 캠프에 합류했습니다.
홍준표 후보는 흉악범 사형, 동성애·차별금지법 반대 등 공약을 내놓으며 자신의 분명한 색깔을 강조해 나가는 모습입니다.
홍 후보 측 관계자는 YTN과 통화에서, 다음 주쯤 원내에도 큰 변화가 있을 거라며 30~40명의 현역 의원들이 홍 후보를 지지하게 될 거라고 자신했습니다.
한동훈 후보 측은 최근 여론 추이를 예단하지 않으면서도 지지율 '상승 동력'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기류가 엿보입니다.
한 후보 측 관계자는 YTN에, 아직 널브러진 지지층이 모두 모인 상황은 아니라며, 우리에게 실망했던 지지층이 힘을 보태줄 지 추이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어제 윤 전 대통령의 신당과 관련해서도 정치권에서 적잖은 이야기가 흘러나왔습니다.
관련 내용도 전해주시죠.
[기자]
윤 전 대통령의 일부 변호인단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윤 어게인' 신당 창당 움직임은 일단 보류된 상태입니다.
정치권도 이를 주시하는 분위기인데, 먼저 국민의힘은 일종의 헤프닝이라고 본다는 입장입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윤 전 대통령의 젊은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의견 표출이 있을 순 있지만, 현실로 진행되긴 어렵다고 본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대선 정국에서 윤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정당의 탄생이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만큼 날 선 반응도 나왔습니다.
당 관계자는 YTN과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이 신당 창당 기류를 알고도 적극적으로 만류하지 않았다면 잘못된 것 아니냐고 반응했습니다.
민주당은 보수 진영 일각의 '윤 어게인' 신당 움직임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최고위 발언에서, 윤 전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기대했던 '윤 어게인' 신당은 실패한 코미디가 될 거라고 단언했습니다.
특히 국민의힘 내 '한덕수 차출론'의 본질은 국민의힘 후보를 다 합쳐도 이재명 후보를 못 이긴다는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지푸라기보다 허무한 모래성인 한 대행을 잡는다고 늪에서 탈출할 수 없을 거라고 비난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임성재입니다.
YTN 임성재 (lsj6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가 오늘은 대구를 찾았습니다.
TK 지역과 부울경을 겨냥한 공약을 쏟아내며, 연이틀 광폭 행보를 이어가는 분위기입니다.
국민의힘에선 내일 1차 토론회를 앞두고 비전대회를 진행합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임성재 기자!
[기자]
국회입니다.
[앵커]
이재명 예비후보의 일정과 공약 발표 내용,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이재명 예비후보가 전통적으로 보수 지지세가 강한 대구를 찾았습니다.
어제 충청권을 찾은 데 이어 연이틀 지역 행보를 이어가는 겁니다.
대구 방문 전 SNS에 글을 올린 이 후보는 TK 지역을 방문하는 소감과 함께 '맞춤형 공약'도 내놨습니다.
먼저, 이 후보는 자신은 안동에 태를 묻고 제 뼈와 살과 피를 만들어 준 대구·경북의 아들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그러면서 대구·경북 출신의 민주당 경선 후보로 지역의 재도약을 이끌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한 공약으로 대구·구미·포항을 글로벌 이차전지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는 등 공약 등을 공개했습니다.
부·울·경 지역을 겨냥해선 '부울경 메가시티'를 대한민국 해양 수도로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특히 가덕도 신공항과 동남권 철도 사업을 차질 없이 준비하고,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이 후보는 또 대구에서 웹툰 업계 종사자들과 간담회도 열었는데, 글로벌 소프트 파워 빅5의 문화 강국으로 거듭나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이 같은 광폭 행보에는 비교적 약세 지역으로 꼽히는 지역에서 먼저 '민심 다지기'에 나선 거란 해석도 적잖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늘 저녁에는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이 참석하는 첫 TV 토론회가 열립니다.
김경수·김동연 경선 후보는 TV 토론회 준비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대선 경선 과정이 치열한 국민의힘도 오늘 관련 일정을 이어가죠?
[기자]
대선 경선 후보자 8명을 추린 국민의힘은 주말 토론회 전 비전 대회를 엽니다.
각 후보자가 한자리에 모여 자신의 정책이나 공약을 자유롭게 발표하는 자리인데요,
다양한 후보를 바탕으로 경선 흥행을 이끌어 내고, 종국적으로는 본선에서 '역전'을 이끌어 내겠다는 복안이 깔린 거로 보입니다.
누구 하나 뚜렷한 '1등 주자'라고 꼽기 어려운 만큼, 물밑에선 치열한 신경전이 이어지는 기류도 읽힙니다.
주로 '3강'으로 꼽히는 김문수·홍준표·한동훈 예비후보들이 중심입니다.
김문수 후보 캠프는 원내 인사를 포함한 세력 다지기에 주력하는 분위기입니다.
조금 전엔 재선 장동혁 의원과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이 캠프에 합류했습니다.
홍준표 후보는 흉악범 사형, 동성애·차별금지법 반대 등 공약을 내놓으며 자신의 분명한 색깔을 강조해 나가는 모습입니다.
홍 후보 측 관계자는 YTN과 통화에서, 다음 주쯤 원내에도 큰 변화가 있을 거라며 30~40명의 현역 의원들이 홍 후보를 지지하게 될 거라고 자신했습니다.
한동훈 후보 측은 최근 여론 추이를 예단하지 않으면서도 지지율 '상승 동력'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기류가 엿보입니다.
한 후보 측 관계자는 YTN에, 아직 널브러진 지지층이 모두 모인 상황은 아니라며, 우리에게 실망했던 지지층이 힘을 보태줄 지 추이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어제 윤 전 대통령의 신당과 관련해서도 정치권에서 적잖은 이야기가 흘러나왔습니다.
관련 내용도 전해주시죠.
[기자]
윤 전 대통령의 일부 변호인단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윤 어게인' 신당 창당 움직임은 일단 보류된 상태입니다.
정치권도 이를 주시하는 분위기인데, 먼저 국민의힘은 일종의 헤프닝이라고 본다는 입장입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윤 전 대통령의 젊은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의견 표출이 있을 순 있지만, 현실로 진행되긴 어렵다고 본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대선 정국에서 윤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정당의 탄생이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만큼 날 선 반응도 나왔습니다.
당 관계자는 YTN과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이 신당 창당 기류를 알고도 적극적으로 만류하지 않았다면 잘못된 것 아니냐고 반응했습니다.
민주당은 보수 진영 일각의 '윤 어게인' 신당 움직임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최고위 발언에서, 윤 전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기대했던 '윤 어게인' 신당은 실패한 코미디가 될 거라고 단언했습니다.
특히 국민의힘 내 '한덕수 차출론'의 본질은 국민의힘 후보를 다 합쳐도 이재명 후보를 못 이긴다는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지푸라기보다 허무한 모래성인 한 대행을 잡는다고 늪에서 탈출할 수 없을 거라고 비난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임성재입니다.
YTN 임성재 (lsj6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