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카카오
AD
카카오 이모티콘이 지난 10년간 7천 억 원의 수익 창출 시장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카카오가 이모티콘 출시 10주년을 맞아 관련 기록을 공개했다.
카카오톡에서 쓸 수 있는 카카오 이모티콘은 지난 2011년 11월 첫선을 보인 이래 '이모티콘 작가'라는 새로운 직업을 탄생시키기도 했다. 현재 창작자 및 이모티콘 산업 종사자 수는 약 1만 명으로 카카오 이모티콘 창작 수익은 7천 억 원에 이른다.
지금까지 이모티콘 30만 개가 만들어졌고, 누적 발신량은 2,200억 건에 달한다.
매출 1억 원 이상을 달성한 이모티콘은 1,392개고, 10억 원 이상 매출을 기록한 이모티콘은 92개다.
이모티콘 작가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20대로 49.9%를 차지한다. 뒤를 이어 30대가 34.5%, 40대 이상이 12.4%의 분포를 보였다. 최연소 이모티콘 작가는 12세, 최연장 이모티콘 작가는 81세다.
카카오는 "누구에게나 자유로운 창작 기회를 제공하고, 창작자의 수익 창출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하며 상생의 가치를 실현해왔다"고 설명했다.
이모티콘 구매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손쉬운 기부 참여를 독려하고, 사회와의 상생을 실천하는 '기브티콘(Give-ticon)' 상품의 구매자도 2016년 첫선을 보인 이래 175만 4천 명을 기록했다.
월정액을 내면 무제한으로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 플러스는 출시 후 현재까지 약 1,000만 명이 경험했다.
연령대별로 이모티콘 키워드가 달랐는데 ▲10대는 '정색', '힝', '귀여워' ▲20대는 '배고파', '포옹' ▲30대는 '박수', '헤헤', '술' ▲40대는 '수고했어', '최고', '힘내' 등을 즐겨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현 카카오 디지털아이템팀장은 "카카오 이모티콘은 파트너이자 동반자인 창작자와 함께 호흡하며, 건강한 동반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창작 생태계의 선순환을 이끌어왔다"며 "출시 후 10년간 이모티콘에 보내주신 이용자들의 아낌없는 관심과 지지에 보답하며 앞으로도 창작자와의 상생과 협력을 지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YTN digital 최가영 (weeping07@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9일, 카카오가 이모티콘 출시 10주년을 맞아 관련 기록을 공개했다.
카카오톡에서 쓸 수 있는 카카오 이모티콘은 지난 2011년 11월 첫선을 보인 이래 '이모티콘 작가'라는 새로운 직업을 탄생시키기도 했다. 현재 창작자 및 이모티콘 산업 종사자 수는 약 1만 명으로 카카오 이모티콘 창작 수익은 7천 억 원에 이른다.
지금까지 이모티콘 30만 개가 만들어졌고, 누적 발신량은 2,200억 건에 달한다.
매출 1억 원 이상을 달성한 이모티콘은 1,392개고, 10억 원 이상 매출을 기록한 이모티콘은 92개다.
이모티콘 작가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20대로 49.9%를 차지한다. 뒤를 이어 30대가 34.5%, 40대 이상이 12.4%의 분포를 보였다. 최연소 이모티콘 작가는 12세, 최연장 이모티콘 작가는 81세다.
카카오는 "누구에게나 자유로운 창작 기회를 제공하고, 창작자의 수익 창출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하며 상생의 가치를 실현해왔다"고 설명했다.
이모티콘 구매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손쉬운 기부 참여를 독려하고, 사회와의 상생을 실천하는 '기브티콘(Give-ticon)' 상품의 구매자도 2016년 첫선을 보인 이래 175만 4천 명을 기록했다.
월정액을 내면 무제한으로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 플러스는 출시 후 현재까지 약 1,000만 명이 경험했다.
연령대별로 이모티콘 키워드가 달랐는데 ▲10대는 '정색', '힝', '귀여워' ▲20대는 '배고파', '포옹' ▲30대는 '박수', '헤헤', '술' ▲40대는 '수고했어', '최고', '힘내' 등을 즐겨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현 카카오 디지털아이템팀장은 "카카오 이모티콘은 파트너이자 동반자인 창작자와 함께 호흡하며, 건강한 동반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창작 생태계의 선순환을 이끌어왔다"며 "출시 후 10년간 이모티콘에 보내주신 이용자들의 아낌없는 관심과 지지에 보답하며 앞으로도 창작자와의 상생과 협력을 지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YTN digital 최가영 (weeping07@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