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시아에서 가장 위험"...외신들이 우려하는 이유는?

"한국, 아시아에서 가장 위험"...외신들이 우려하는 이유는?

2022.09.29. 오전 09:5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안보라 앵커
■ 출연 : 홍기빈 /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 얘기를 해볼게요. 2주 뒤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또다시 인상 여부를 결정을 하길 한 텐데 그것과는 별개로 윤석열 정부의 경제 정책의 무게의 추가 기존에서 물가 잡겠다였는데 이제는 경기를 생각하자라는 쪽으로 이동을 한 것 같습니다.

[홍기빈]
그렇습니다. 지금 들려오는 이야기인데요. 지금 한국은행 쪽에서는 일단 금리 부분을 여기에서 강한 입장을 취하겠다는 그런 스탠스를 유지합니다마는 기획재정부나 정부 쪽에서는 슬슬 가계부채를 걱정해야 된다라는 이야기. 금리를 너무 올리자 이런 문제가 있다. 그래서 기획재정부 쪽하고 저희 한국은행 쪽하고 미묘하게 톤이 달라지는 분위기가 감지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의 심각성을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는 일인데 지금 어느 나라나 다 그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마는, 부채 문제. 그래서 조금 약간의 뉘앙스의 차이가 벌어진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물론 한국은행은 독립된 기관이긴 합니다마는 2주 뒤에 금리인상 폭에 대해서 관심이 많잖아요. 미 연준이 금리를 워낙 큰 폭으로 올렸기 때문에 우리도 0.5 빅스텝을 밟아야 되는 것 아니냐라는 시각이 있었고요. 빅스텝은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가 부채 문제를 계속 지적해왔잖아요. 그래서 빅스텝까지는 모르겠지만 0.25%포인트, 베이비 스텝 정도를 밟아야 되지 않겠느냐라는 시각도 있고. 어떤 선택을 할 것으로 예상하세요?

[홍기빈]
올릴 것은 분명한 것 같은데 여기서 아까 말한 대로 지금 미국이 올리고 있으니까 빨리 올려야 된다는 얘기가 많잖아요. 그런데 제가 여러 번 지금 반복합니다마는 영국이라든가 다른 나라들도 아까 제가 서두에 뱁새 얘기 드렸잖아요. 지금 거의 모든 나라들이 다 뱁새 신세가 돼서 금리를 더 이상 올리는 것에 한계를 느끼기 시작했어요, 부채 문제 때문에. 그런데 우리나라도 일본이라든가 이탈리아라든가 민간부채냐 가계부채냐 성격은 다르지만 부채 문제는 똑같이 안고 있거든요. 그래서 0.5% 올려야 된다라는 얘기가 물론 다들 일리가 있습니다마는 쉬울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는 그래서 아마 이것도 제 추측입니다마는 연말까지 3.25% 이상을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저는 그런 생각을 가져요.

[앵커]
가계부채 문제도 워낙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어서. 알겠습니다.

끝으로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부채 문제는 가계든 국가 부채든 이게 전 세계적으로 위기의 요소로 꼽히고 있기 때문에 그렇다면 우리는 대내외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작은 나라인데 어떤 식으로 대응 전략을 짜는 것이 좋겠는가를 고민하게 됩니다.

[홍기빈]
우선 최근에 나온 보도가 있었어요. 블룸버그라든가 몇 개 외신에서. 국제 투자자들의 말을 인용해서 아시아에서 가장 위험한 통화가 원화가 아니겠느냐, 이런 얘기 나왔는데 그거 좀 설명을 드릴게요. 아시아 쪽에서 지금 위안화하고 엔화가 지금 가치가 굉장히 낮거든요. 그런데 외국 투자자들이 나라별로 들어온다기보다도 아시아는 보통 통으로 들어와요. 그래서 중국에 투자하거나 일본에 투자할 적에 함께 태국, 한국 이런 나라들도 함께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때문에 일본이나 중국에서 돈이 빠져나갈 때 다른 아시아 나라들도 함께 빠져나가서 그래서 아시아 나라들이 전체적으로 위험하다라는 얘기인데 여기서 한국이 지목되고 있는 이유는 지금 우리 경상수지, 구체적으로는 무역수지가 우리가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심하고 그래서 이게 지금 적자 상태가 발생을 했고 앞으로도 무역수지가 적자가 될 것 같다.

그래서 위험한 순서로 보자면 한국, 필리핀, 태국 이런 순서로 위험한 게 아니냐 지금 이런 말이 나오고 있어요. 결국은 지금 금융시장에서의 급박한 저거에 대응도 해야 되지만 약간 중장기적으로 보면 산업이나 수출 부문에서의 빨리 어떤 조치를 취해야 되는데 이건 경제 문제만으로는 힘들고 외교적인 방책이라든가 어떤 동맹들과의 협력이라든가 경제 외적인 방식까지 총동원을 해서 이것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해야 되지 않나. 경제적인 방식, 그 매뉴얼만으로 문제를 푸는 데는 지금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