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따라 국민 부담이 커지는 점을 고려해 정부가 알뜰교통카드 지원을 늘리고 대중교통 이용액 소득공제를 올해도 확대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물가·민생경제 대응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물가 상승세 속에 버스와 택시 등 지방 공공요금 인상 확산이 물가를 끌어 올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서민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알뜰교통카드 지원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때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최대 20% 주고, 카드사가 10%에 달하는 추가 할인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한 달에 44번까지 마일리지를 쌓을 수 있는데, 이 한도를 60번까지 늘려주기로 했습니다.
저소득층의 경우 적립 단가도 500원에서 700원으로 올립니다.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액에 대한 소득공제율은 올해 내내 80%를 적용합니다.
기존 공제율은 40%로 올해 상반기까지 80%를 적용하기로 했다가 기간을 늘린 겁니다.
이 밖에 물가를 자극할 수 있는 공공요금 인상은 최대한 자제하기로 했습니다.
고속도로, 철도, 우편, 광역 상수도 등 중앙 공공요금을 상반기에 동결했고, 버스나 지하철, 상하수도 요금 등 지방 공공요금은 인상 자제를 당부했습니다.
YTN 이형원 (lhw9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기획재정부는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물가·민생경제 대응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물가 상승세 속에 버스와 택시 등 지방 공공요금 인상 확산이 물가를 끌어 올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서민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알뜰교통카드 지원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때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최대 20% 주고, 카드사가 10%에 달하는 추가 할인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한 달에 44번까지 마일리지를 쌓을 수 있는데, 이 한도를 60번까지 늘려주기로 했습니다.
저소득층의 경우 적립 단가도 500원에서 700원으로 올립니다.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액에 대한 소득공제율은 올해 내내 80%를 적용합니다.
기존 공제율은 40%로 올해 상반기까지 80%를 적용하기로 했다가 기간을 늘린 겁니다.
이 밖에 물가를 자극할 수 있는 공공요금 인상은 최대한 자제하기로 했습니다.
고속도로, 철도, 우편, 광역 상수도 등 중앙 공공요금을 상반기에 동결했고, 버스나 지하철, 상하수도 요금 등 지방 공공요금은 인상 자제를 당부했습니다.
YTN 이형원 (lhw9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