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 5년간 한류 열풍이 불러온 국내 경제적 파급 효과가 37조 원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 문화의 세계 영향력은 31위에서 7위로 급상승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오늘(10일) 공개한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21년까지 한류 확산으로 발생한 생산액은 소비재 분야에서 30조 5000억 원,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6조 5000억 원 등 총 37조 원이었다. 같은 기간 창출된 부가가치액은 13조 2000억 원이다. 소비재 수출을 통해 9조 9000억 원, 문화콘텐츠 수출을 통해 3조 3000억 원 발생했다.
한국 문화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음악·방송 등의 문화콘텐츠 수출이 확대된 것은 물론, 국가브랜드 제고로 화장품(K-뷰티)·가공식품(K-푸드) 등 한류와 밀접한 소비재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 5년간 이들 한류 품목의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13.7%로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수출의 연평균 증가율(5.4%) 대비 약 2.5배 수준이다.
한류는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한류 수출 증가에 따른 총 취업 유발 인원은 16만 명으로, 지난해 국내 총 취업자 수 증가 폭(81만 6000명)의 19.6%에 해당한다. 취업 유발 인원 16만 명 가운데 11만 6000명은 소비재 수출 증가를 통해, 4만 4000명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를 통해 발생했다.
2018년부터 비영어권 가수 최초로 5년 연속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톱(TOP) 10에 진입한 방탄소년단(BTS), 2021년 방영돼 94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한 드라마 오징어게임 등 글로벌 한류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급신장했다는 평가다.
미국 U.S News·와튼스쿨의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 랭킹’에 따르면,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세계 31위(80개국 중)에서 2022년 7위(85개국 중)로 24단계 급등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실장은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와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투자 확대를 유도해 한국 문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YTN 최보란 (ran613@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오늘(10일) 공개한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21년까지 한류 확산으로 발생한 생산액은 소비재 분야에서 30조 5000억 원,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6조 5000억 원 등 총 37조 원이었다. 같은 기간 창출된 부가가치액은 13조 2000억 원이다. 소비재 수출을 통해 9조 9000억 원, 문화콘텐츠 수출을 통해 3조 3000억 원 발생했다.
한국 문화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음악·방송 등의 문화콘텐츠 수출이 확대된 것은 물론, 국가브랜드 제고로 화장품(K-뷰티)·가공식품(K-푸드) 등 한류와 밀접한 소비재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 5년간 이들 한류 품목의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13.7%로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수출의 연평균 증가율(5.4%) 대비 약 2.5배 수준이다.
한류는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한류 수출 증가에 따른 총 취업 유발 인원은 16만 명으로, 지난해 국내 총 취업자 수 증가 폭(81만 6000명)의 19.6%에 해당한다. 취업 유발 인원 16만 명 가운데 11만 6000명은 소비재 수출 증가를 통해, 4만 4000명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를 통해 발생했다.
2018년부터 비영어권 가수 최초로 5년 연속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톱(TOP) 10에 진입한 방탄소년단(BTS), 2021년 방영돼 94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한 드라마 오징어게임 등 글로벌 한류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급신장했다는 평가다.
미국 U.S News·와튼스쿨의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 랭킹’에 따르면,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세계 31위(80개국 중)에서 2022년 7위(85개국 중)로 24단계 급등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실장은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와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투자 확대를 유도해 한국 문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YTN 최보란 (ran613@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