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교통비 20∼53% 환급"...K-패스 5월부터 도입

"한 달 교통비 20∼53% 환급"...K-패스 5월부터 도입

2024.01.17. 오전 11:5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정부가 오는 5월부터 대중 교통비를 최대 절반 가까이 돌려주는 K-패스 사업을 시작합니다.

최대 월 6만 5천 원으로 서울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도 이번 달 말부터 판매됩니다.

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윤해리 기자!

정부가 대중교통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출시한 K-패스, 어떤 건가요?

[기자]
정확한 명칭은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으로, 일종의 교통 카드입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알뜰교통카드의 불편 사항은 개선하고 혜택은 확대했는데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쓴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시내버스나 지하철, 광역 버스 등에서 이용할 수 있고 고속철도나 고속버스 등은 제외됩니다.

현금이나 마일리지, 카드 공제 등을 통해 이용자에게 직접 환급되는데요.

일반인은 쓴 금액의 20%, 만 19세에서 34세 이하 청년층은 30%, 저소득층은 53%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매월 대중교통비로 7만 원을 썼다면 일반인은 만 4천 원, 청년은 2만 천 원, 저소득층은 3만 7천 원을 환급받을 수 있는 겁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이동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로 환급을 해줬다면, K-패스는 거리와 관계없이 지출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 준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정부는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사업 시행 시기를 기존 7월에서 오는 5월로 두 달 앞당겼다고 밝혔습니다.

오는 5월부터 K-패스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 또는 11개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던 사람이라면 K-패스 회원 전환을 신청하면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지역에 K-패스가 도입되는 건 아닌데요.

전국 기초 시·군·구 229곳 가운데 인구수가 10만 명 이하인 40곳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에서 K-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시에서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기후 동행카드도 이번 달부터 출시되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무제한 대중교통 정기권을 출시할 예정인데요.

한 번 요금을 충전하면 30일 동안 서울시 지하철과 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요금제는 두 가지로,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하려면 6만 2천 원, 따릉이까지 이용하려면 6만 5천 원입니다.

서울 내 지하철과 버스 대부분을 이용할 수 있지만, 신분당선이나 서울을 벗어난 지하철 노선과 광역, 공항버스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지하철의 경우 서울을 벗어난 곳에서 내릴 땐 하차 역에서 역무원에게 추가 요금을 내야 합니다.

모바일 카드는 오는 23일부터 티머니 앱을 통해 등록할 수 있고, 실물 카드는 역사 고객안전실에서 살 수 있습니다.

아직은 편의점에서 충전할 순 없고, 역사 내에 있는 단말기에서 기존 교통카드처럼 충전하면 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오는 20일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윤해리 (yunhr09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