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 YTN
AD
이달 토마토, 딸기, 참외 등 주요 과채류 가격이 작년 같은 달보다 큰 폭으로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관측 3월호' 보고서를 통해 이달 토마토와 대추방울토마토 도매가격을 각각 2만 3,000원(5㎏ 기준)과 2만 4,000원(3㎏ 기준)으로 1년 전보다 43.9%, 11.2%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19년부터 3년간 평균치인 평년 도매가격과 비교하면 각각 51.8%, 34.1% 비싼 수준이다.
딸기와 참외 도매가격은 각각 2만 2,000원(2㎏ 기준), 8만 5,000원(10㎏ 기준)으로 예측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각각 17.7%, 5.1% 비싸고 평년과 비교하면 33.1%, 20.9% 오른 값이다.
농경연은 과채류 가격 상승 주요 원인으로 '출하량 감소'를 꼽았다. 토마토는 1∼2월 생육기 일조시간이 부족해 착과율(열매가 달리는 비율)이 낮아졌고, 대추방울토마토 역시 일조시간 감소로 착과율이 낮아진 데다 병해가 늘었다. 딸기, 참외 작황도 부진했다.
사과와 배 가격은 지난해 기상 재해 여파로 올해 강세를 보이고 있고, 지난달 하순 기준 도매가격은 모두 작년 동기의 두 배에 이른다. 특히 햇과일이 본격 출하되는 추석 전후까지는 사과, 배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농경연은 다른 농산물 가격도 높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애그플레이션' 우려가 상존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작년 같은 달보다 3.1% 오른 가운데 신선과실과 신선 채소 상승률이 각각 41.2%, 12.3%를 나타냈다.
농경연은 이달 대파 도매가격은 1㎏에 2,950원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50.5% 오르고, 배추 가격은 10㎏에 9,500원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36.8% 비싸질 것으로 봤다. 파프리카(빨강)는 5㎏에 4만 원으로 14.9% 비싸고 평년보다 31.0%, 애호박은 20개에 3만 9,000원으로 평년에 비해 62.0%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밖에 백다다기오이는 100개에 7만 5,000원, 취청오이는 50개에 5만 2,000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각각 12.4%, 12.8%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평년과 비교하면 각각 37.6%, 49.4% 오른 값이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관측 3월호' 보고서를 통해 이달 토마토와 대추방울토마토 도매가격을 각각 2만 3,000원(5㎏ 기준)과 2만 4,000원(3㎏ 기준)으로 1년 전보다 43.9%, 11.2%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19년부터 3년간 평균치인 평년 도매가격과 비교하면 각각 51.8%, 34.1% 비싼 수준이다.
딸기와 참외 도매가격은 각각 2만 2,000원(2㎏ 기준), 8만 5,000원(10㎏ 기준)으로 예측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각각 17.7%, 5.1% 비싸고 평년과 비교하면 33.1%, 20.9% 오른 값이다.
농경연은 과채류 가격 상승 주요 원인으로 '출하량 감소'를 꼽았다. 토마토는 1∼2월 생육기 일조시간이 부족해 착과율(열매가 달리는 비율)이 낮아졌고, 대추방울토마토 역시 일조시간 감소로 착과율이 낮아진 데다 병해가 늘었다. 딸기, 참외 작황도 부진했다.
사과와 배 가격은 지난해 기상 재해 여파로 올해 강세를 보이고 있고, 지난달 하순 기준 도매가격은 모두 작년 동기의 두 배에 이른다. 특히 햇과일이 본격 출하되는 추석 전후까지는 사과, 배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농경연은 다른 농산물 가격도 높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애그플레이션' 우려가 상존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작년 같은 달보다 3.1% 오른 가운데 신선과실과 신선 채소 상승률이 각각 41.2%, 12.3%를 나타냈다.
농경연은 이달 대파 도매가격은 1㎏에 2,950원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50.5% 오르고, 배추 가격은 10㎏에 9,500원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36.8% 비싸질 것으로 봤다. 파프리카(빨강)는 5㎏에 4만 원으로 14.9% 비싸고 평년보다 31.0%, 애호박은 20개에 3만 9,000원으로 평년에 비해 62.0%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밖에 백다다기오이는 100개에 7만 5,000원, 취청오이는 50개에 5만 2,000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각각 12.4%, 12.8%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평년과 비교하면 각각 37.6%, 49.4% 오른 값이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