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관련 담합 첫 적발...9년간 안 들킨 이유는?

반도체 관련 담합 첫 적발...9년간 안 들킨 이유는?

2024.06.02. 오후 12: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국가기간산업인 반도체 관련 협력업체들의 담합이 처음 적발됐습니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설비인데, 자그마치 9년간 이어졌습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상당수 물질은 누출되면 인체에 해로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 제조 환경의 미세한 변화도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때문에 최적의 조건을 유지하고 유해가스 누출을 감시하거나 차단, 알리는 제어감시 시스템이 중요합니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설비 입찰을 맡은 삼성SDS는 지난 2015년부터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경쟁입찰을 도입했습니다.

그러자 12개 제어감시 시스템 협력업체들의 담합이 시작됐습니다.

한 협력업체 내부자료에는 납품 단가를 유지하고 다른 업체가 진입하지 못하게 독과점 시스템을 운영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업체들은 서로 미리 소통하며 낙찰 예정사와 들러리사를 정하고, 금액과 견적서를 공유했습니다.

담합은 2015년부터 9년간,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관련 입찰을 위주로 334건에서 이뤄졌습니다.

업체들은 기존 수주업체를 원칙적으로 낙찰예정자로 정했습니다.

하지만 의심을 피하고 들러리사의 입찰 참가자격을 유지하기 위해 꼼수를 쓰기도 했습니다.

[오행록 / 공정거래위원회 제조카르텔조사과장 : 페이퍼컴퍼니를 만들어서 번갈아 낙찰받는다든지, 또 몇 번에 한 번씩은 원칙적인 낙찰예정자가 아니고 다른 사업자들한테 낙찰받게 한다든지 이런 방식으로 담합을 들키지 않게 그렇게 운영을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공정위는 담합한 업체를 분할합병한 업체를 포함해 13개 업체에 시정명령을 내리고 과징금 104억여 원을 부과했습니다.

반도체 제조 관련 담합이 적발된 건 처음입니다.

공정위는 산업 경쟁력 확보와 소비자 보호를 위해 중간재 분야 담합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영상편집 한수민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