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소득 590만 원 이상 직장인, 연금보험료 최대 1만 2,150원 오른다

월 소득 590만 원 이상 직장인, 연금보험료 최대 1만 2,150원 오른다

2024.06.10. 오전 09:2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월 소득 590만 원 이상 직장인, 연금보험료 최대 1만 2,150원 오른다
ⓒYTN
AD
매달 590만 원 이상의 월급을 받는 직장인의 국민연금 보험료가 내달부터 최대 월 1만 2,000원가량 인상된다.

1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민연금 보험료를 매기는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이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최근 3년간 평균 소득변동률(4.5%)에 맞춰 7월부터 손질된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590만 원에서 617만 원으로, 하한액은 37만 원에서 39만 원으로 각각 인상되며 이 기준은 내년 6월까지 1년간 적용된다.

상한액 617만 원은 월 617만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더라도 월 소득이 617만 원이라고 여기고 보험료를 부과한다는 뜻이다. 하한액 39만 원은 월 39만 원 이하로 벌더라도 월 39만 원을 번다고 가정해 보험료를 매긴다는 의미이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에다 보험료율(9%)을 곱해서 매긴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이 상향됨에 따라 기존 상한액인 월 590만 원과 새 상한액인 월 617만 원 사이에서 월급을 받는 직장인은 7월부터 자신의 소득에 따라 본인 부담 기준으로 0원 초과에서 월 1만 2,150원 미만 사이에서 연금 보험료가 오른다.

특히 월 소득 617만 원 이상의 직장인은 개인 부담 연금보험료가 월 26만 5,500원에서 월 27만 7,650원으로 월 1만 2,150원 오른다. 직장인의 경우 회사와 반반씩 연금 보험료를 내기에 전체로는 2배인 월 2만 4,300원 인상되는 셈이다.

하한액 변동에 따라 월 39만 원 미만 소득자의 보험료도 최대 1,800원까지 오른다.

상·하한액 조정으로 조정대상자의 보험료가 일부 인상되지만, 연금 급여액을 산정할 때 기초가 되는 가입자 개인의 생애 평균소득 월액이 올라가기에 노후에 더 많은 연금을 받는다.

상한액 조정에도 불구하고 '기준소득월액 특례제도'에 따라 전년 대비 소득변화가 큰 가입자의 경우 현재 소득에 맞게 보험료를 낼 수 있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1995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월 360만 원으로 묶여 있었다. 이 때문에 가입자의 실제 소득이 올라가는 상황을 반영 못 하면서 물가 상승으로 연금의 실질 가치가 떨어지고, 적정 수준의 연금 급여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연금 당국은 2010년 7월부터 해마다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3년간 평균소득 월액의 평균액(A값)에 연동해 소득상한액을 조금씩 조정하고 있다.

디지털뉴스팀 이유나 기자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