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고래' 개발 본격화...시추 착수비 120억 확보

'대왕고래' 개발 본격화...시추 착수비 120억 확보

2024.06.16. 오후 12:0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12월 첫 탐사 시추 위한 착수비 120억 확보
연간 1천억 원 이상 재원 필요…국회 협조 필수
노르웨이 시드릴 사와 시추선 임대 계약 체결
정부 출자와 함께 ’성공불융자’ 활용 추진
AD
[앵커]
동해 가스전과 관련해 정부와 한국석유공사는 오는 12월 첫 시추공을 뚫기 위한 착수비 성격의 재원 120억 원을 확보했습니다.

다음 달 중에는 정확한 시추 위치를 확정하기로 했습니다.

취재기자를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류환홍 기자!

첫 시추를 위한 착수비가 마련됐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정부와 한국석유공사는 우선 올해까지 들어갈 착수비 성격의 재원 120억 원을 확보했습니다.

오는 12월 첫 시추공을 뚫게 되는데, 이를 위한 일부 재원을 마련했습니다.

60억 원은 정부가 올해 석유공사에 출자한 자금 중에서, 나머지 60억 원은 석유공사 자체 자금 중에서 조달했습니다.

다만 향후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기 위해선 내년부터 연간 천억 원 이상 재원이 더 필요합니다.

석유공사가 현재 자본 잠식 상태이기 때문에 예산이 지원돼야 하고, 이를 위해선 국회 협조가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현재 계획으론 올해 12월부터 4개월간 천억 원을 투입해 7개 유망구조 중 1곳에서 탐사 시추를 벌이게 됩니다.

노르웨이 시드릴 사와는 시추선 임대 계약도 체결된 상태입니다.

당장 올해 들어갈 자금은 착수비 성격의 120억 원이고, 나머지 880억 원은 첫 탐사 시추 작업이 마무리되는 시점인 내년에 지급됩니다.

정부 관계자는 착수금 용도로 100억 넘는 돈이 확보돼 있고, 대부분 시드릴 사와 계약에 따른 착수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석유공사 지원을 위해 정부 출자와 함께 '성공불융자'로 불리는 해외자원개발 특별융자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성공불융자'는 해외자원개발 등 위험이 큰 사업에 정부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입니다.

사업이 실패하면 융자금을 면제해주고, 성공하면 원리금 외에 특별 부담금을 추가로 징수하는 제도입니다.

과거 이명박 정부에선 공기업을 제외한 민간 기업에만 적용했지만, 이번엔 공기업인 석유공사에도 적용할 방침입니다.

그러나 야당은 정보 공개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예산 협조는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내년 이후 예산 확보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정부도 글로벌 석유기업의 투자를 유치한다는 방침인데, 이에 성공한다면 비용 부담을 많이 낮출 수 있게 됩니다.

다만 개발 성과가 났을 때는 투자 지분만큼 해당 기업에 이익을 내줘야 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석유공사는 외국 투자 유치와 국익 최대화를 함께 고려하는 고차 방정식을 풀어나가야 하는 입장이라며 지금부터 몇 달간이 매우 중요한 시간이라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류환홍입니다.


YTN 류환홍 (rhyuh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