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두 쌍 중 한 쌍 '맞벌이' 부부...30대, 40·50대 첫 추월

지난해 두 쌍 중 한 쌍 '맞벌이' 부부...30대, 40·50대 첫 추월

2024.06.18. 오후 6:2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지난해 맞벌이 611만 5천 가구…역대 최대
2쌍 중 1쌍 ’맞벌이’…처음으로 600만 가구 넘어
30대 맞벌이 59%…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아
30대 맞벌이 비중, 40·50대 첫 추월
AD
[앵커]
지난해 2쌍 중 1쌍은 맞벌이 부부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맞벌이 가구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30대 맞벌이 비중이 처음으로 40대와 50대를 넘어서며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통계청은 지난해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 가구 중 맞벌이 가구 수는 611만 5천 가구로 48.2%를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처음으로 600만 가구를 넘어서며 관련 통계가 있는 2015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쌍 중 1쌍꼴이 맞벌이 가구로 한 해 전보다 26만 8천 가구가 증가했습니다.

동거 맞벌이 가구는 17만 8천 가구, 비동거 맞벌이도 9만 1천 가구가 늘었는데,

'주말 부부' 등으로 같이 살지 않으면서 수입 활동을 하는 부부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모든 연령대의 맞벌이 가구 비중이 상승한 가운데, 특히 30대 맞벌이는 59%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통상 맞벌이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연령대인 40·50대를 처음으로 30대가 추월한 겁니다.

[임경은 / 통계청 고용통계과장 : 특히 30대 여성들의 취업자 증가가 굉장히 컸고, 30대 여성 취업자들이 증가한 것이 30대 맞벌이 가구 증가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막내 자녀가 6세 이하인 경우 맞벌이 비중이 51.5%로 처음으로 50%를 넘어서, 자녀가 어린 경우에도 맞벌이 부부가 늘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1인 가구 중 취업한 비중은 63%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1인 취업 가구는 30대가 109만 가구로 가장 많았고, 60세 이상 가구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60세 이상 취업 가구는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만 가구를 웃돌았습니다.

1인 임금근로자 가구 중 월급이 100만 원 미만인 가구 비중은 11.1%로 1년 전보다 0.4% 포인트 늘었습니다.

임금근로자인 1인 가구 10가구 중 1가구꼴로 한 달에 100만 원도 벌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YTN 오인석입니다.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