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해 국내 정유업계가 수출한 휘발유, 경유 물량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대한석유협회는 지난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가 수출한 휘발유가 1억천백 89만 배럴, 경유는 2억 백66만 배럴도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휘발유, 경유 수출 실적은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지난 1992년 이후 최대치로 고부가 제품인 항공유 수출량도 3% 늘어난 8천8백26만 배럴에 달했습니다.
전체 석유제품 수출도 전년보다 4.8% 증가한 4억9천45만 배럴로 2018년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했습니다.
아울러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원유 가운데 52.5%를 정제해 수출하면서 원유 도입량 가운데 수출 비중도 최고치를 나타냈습니다.
다만 수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석유제품 수출액은 국제 유가 하락 여파로 전년보다 2.9% 감소한 4백51억7천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석유협회는 휘발유, 경유 수출량 최대치 기록은 지난해 글로벌 정제 마진 약세로 경영 여건이 악화한 가운데 국내 정유사가 가벼운 비중의 이른바 '경질석유' 제품 수출 확대로 돌파구를 모색한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석유협회는 지난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가 수출한 휘발유가 1억천백 89만 배럴, 경유는 2억 백66만 배럴도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휘발유, 경유 수출 실적은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지난 1992년 이후 최대치로 고부가 제품인 항공유 수출량도 3% 늘어난 8천8백26만 배럴에 달했습니다.
전체 석유제품 수출도 전년보다 4.8% 증가한 4억9천45만 배럴로 2018년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했습니다.
아울러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원유 가운데 52.5%를 정제해 수출하면서 원유 도입량 가운데 수출 비중도 최고치를 나타냈습니다.
다만 수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석유제품 수출액은 국제 유가 하락 여파로 전년보다 2.9% 감소한 4백51억7천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석유협회는 휘발유, 경유 수출량 최대치 기록은 지난해 글로벌 정제 마진 약세로 경영 여건이 악화한 가운데 국내 정유사가 가벼운 비중의 이른바 '경질석유' 제품 수출 확대로 돌파구를 모색한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