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트럼프 미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이어 자동차와 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를 검토하겠다고 밝히자 관련 산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는 우리나라 수출 1, 2위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수출 효자'인 만큼 파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박기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가 미국으로 수출한 자동차는 143만 대.
현대차그룹이 100만 대, 한국GM이 42만대를 미국행 배에 실었습니다.
대미 수출액의 30% 가까이는 자동차가 담당한 셈입니다.
하루가 멀다 하고 관세 칼을 휘두르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도 검토하겠다고 밝히자 업계가 화들짝 놀랐습니다.
구체적 수치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현실화한다면 앞서 25% 관세를 부과한 철강, 알루미늄보다도 피해가 더 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대차의 경우 미국 현지 공장을 '풀가동' 하더라도 현 수출 물량을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
국내 생산량의 90%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 한국GM은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자 철수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함께 검토하겠다고 밝힌 반도체 관세 또한 치명적입니다.
다만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절반 이상을 한국 기업이 생산한다는 점,
당장 미국 업체가 메모리 반도체 수요를 모두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에서 수위 조절 가능성은 있습니다.
관세를 올리면 피해를 보는 건 미국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서는 시스템 반도체 즉, TSMC를 겨냥한 조치만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안기현 /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 : (반도체 관세는) 보조금 때문에 그런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이야기 했잖아요. 오래전에. 저는 타겟은 메모리가 아니라고 봐요. 타겟은 시스템반도체, TSMC죠.]
연쇄적인 미국의 관세 조치에 정부도 우리 기업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묘수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 다음 주 수출전략회의를 개최해 관세 피해 우려기업 지원과 수출 품목·지역 다변화를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겠습니다.]
수출 효자인 자동차와 반도체까지 관세 도마 위에 오르면서 가뜩이나 힘든 산업계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YTN 박기완입니다.
YTN 박기완 (j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미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이어 자동차와 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를 검토하겠다고 밝히자 관련 산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는 우리나라 수출 1, 2위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수출 효자'인 만큼 파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박기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가 미국으로 수출한 자동차는 143만 대.
현대차그룹이 100만 대, 한국GM이 42만대를 미국행 배에 실었습니다.
대미 수출액의 30% 가까이는 자동차가 담당한 셈입니다.
하루가 멀다 하고 관세 칼을 휘두르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도 검토하겠다고 밝히자 업계가 화들짝 놀랐습니다.
구체적 수치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현실화한다면 앞서 25% 관세를 부과한 철강, 알루미늄보다도 피해가 더 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대차의 경우 미국 현지 공장을 '풀가동' 하더라도 현 수출 물량을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
국내 생산량의 90%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 한국GM은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자 철수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함께 검토하겠다고 밝힌 반도체 관세 또한 치명적입니다.
다만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절반 이상을 한국 기업이 생산한다는 점,
당장 미국 업체가 메모리 반도체 수요를 모두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에서 수위 조절 가능성은 있습니다.
관세를 올리면 피해를 보는 건 미국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서는 시스템 반도체 즉, TSMC를 겨냥한 조치만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안기현 /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 : (반도체 관세는) 보조금 때문에 그런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이야기 했잖아요. 오래전에. 저는 타겟은 메모리가 아니라고 봐요. 타겟은 시스템반도체, TSMC죠.]
연쇄적인 미국의 관세 조치에 정부도 우리 기업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묘수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최상목 / 대통령 권한대행 : 다음 주 수출전략회의를 개최해 관세 피해 우려기업 지원과 수출 품목·지역 다변화를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겠습니다.]
수출 효자인 자동차와 반도체까지 관세 도마 위에 오르면서 가뜩이나 힘든 산업계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YTN 박기완입니다.
YTN 박기완 (j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