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 딥시크에 대한 개인정보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오픈AI의 챗GPT 국내 사용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자료를 보면 챗GPT의 모바일 주간 활성 이용자는 이달 들어 2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달 첫째 주에 처음 200만 명을 넘어섰고 지난주에는 209만여 명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딥시크 등장 초반에는 챗GPT와 가입자가 동반 상승하면서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측됐지만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사용 금지 움직임이 확산하자 챗GPT가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데이터 유출 정황을 이유로 딥시크의 국내 신규 다운로드를 잠정 중단한 만큼 이 같은 추세는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최아영 (cay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자료를 보면 챗GPT의 모바일 주간 활성 이용자는 이달 들어 2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달 첫째 주에 처음 200만 명을 넘어섰고 지난주에는 209만여 명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딥시크 등장 초반에는 챗GPT와 가입자가 동반 상승하면서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측됐지만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사용 금지 움직임이 확산하자 챗GPT가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데이터 유출 정황을 이유로 딥시크의 국내 신규 다운로드를 잠정 중단한 만큼 이 같은 추세는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최아영 (cay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