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1980년대생부터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율이 남성을 추월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1970∼1994년생 청년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로 나눠 교육 수준과 고용, 자립 시기 등 지표를 분석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대생은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여성이 앞섰습니다.
1980∼1984년생의 대학 졸업 이상 비율은 남성이 69.4%, 여성은 72.1%로 집계됐습니다.
1985∼1989년생의 경우 남성은 72.2%, 여성은 77.3%였습니다.
특히 1990∼1994년생의 경우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은 78.5%로, 남성보다 13% 포인트 이상 높았습니다.
청년 취업 시기는 지연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첫 취업 연령을 코호트별로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25∼29세인 시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1975∼1979년생에서는 22.12세, 1980∼1984년생은 22.72세였으나 1985∼1989년생은 23.4세로 높아졌습니다.
보고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률을 볼 때 20대 중후반에 수도권으로 이동이 증가하는 현상은 비수도권에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점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1970∼1994년생 청년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로 나눠 교육 수준과 고용, 자립 시기 등 지표를 분석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대생은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여성이 앞섰습니다.
1980∼1984년생의 대학 졸업 이상 비율은 남성이 69.4%, 여성은 72.1%로 집계됐습니다.
1985∼1989년생의 경우 남성은 72.2%, 여성은 77.3%였습니다.
특히 1990∼1994년생의 경우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은 78.5%로, 남성보다 13% 포인트 이상 높았습니다.
청년 취업 시기는 지연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첫 취업 연령을 코호트별로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25∼29세인 시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1975∼1979년생에서는 22.12세, 1980∼1984년생은 22.72세였으나 1985∼1989년생은 23.4세로 높아졌습니다.
보고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률을 볼 때 20대 중후반에 수도권으로 이동이 증가하는 현상은 비수도권에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점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