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에 열릴 2025년 박람회 위한 초석"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발간
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제공
AD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가 중증장애인생산품의 가치 확산과 정책적 성과 공유를 위해 '2024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 백서'를 발간했다.
백서는 지난해 10월 10일과 11일 이틀동안 서울 aT센터에서 개최된 ‘2024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의 성과와 주요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자료다. 장애인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e북 형태로 제작됐다.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협회는 이 백서가 올해 9월 9일과 10일 같은 장소에서 열릴 예정인 ‘2025년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를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백서는 2024년 박람회의 성공적 개최 결과를 바탕으로 한 향후 박람회의 발전 방향 제시와 중증장애인생산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판로 확대를 위한 정책적 제언 등을 담고 있다. 협회는 올해 박람회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박람회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백서를 발간했다고 설명했다.
중증장애인생산품의 인식 개선과 판로 확대를 목표로 열린 지난해 박람회에는 120여 개의 생산·판매시설들이 참가했다. 다양한 제품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들이 운영됐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유공자 표창과 장애인직업재활 정책 세미나와 간담회 등도 진행됐다. 특히,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열린 ‘우선구매 제도 설명회’에서는 2백여 명의 구매 담당자들에게 중증장애인생산품의 경쟁력을 알리고 우선구매 제도 이행률을 높이기 위한 활동도 이어졌다.
이번 백서에는 박람회의 정량·정성적 평가뿐 아니라, 참가 기관과 관람객들의 다양한 피드백도 수록해, 향후 행사 개선안 마련 등 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했다.
협회는 지난해 박람회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박람회에서는 프로그램을 더 강화해 공공기관과 민간 바이어들과의 실질적인 비즈니스 매칭 기회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중증장애인생산품에 대한 체험형 전시를 확대하고 제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예정이다.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의 구매 담당자들을 위한 1:1 맞춤형 구매 상담회를 운영하여 실질적인 계약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YTN digital 뉴스팀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백서는 지난해 10월 10일과 11일 이틀동안 서울 aT센터에서 개최된 ‘2024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의 성과와 주요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자료다. 장애인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e북 형태로 제작됐다.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협회는 이 백서가 올해 9월 9일과 10일 같은 장소에서 열릴 예정인 ‘2025년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를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백서는 2024년 박람회의 성공적 개최 결과를 바탕으로 한 향후 박람회의 발전 방향 제시와 중증장애인생산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판로 확대를 위한 정책적 제언 등을 담고 있다. 협회는 올해 박람회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박람회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백서를 발간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제공
중증장애인생산품의 인식 개선과 판로 확대를 목표로 열린 지난해 박람회에는 120여 개의 생산·판매시설들이 참가했다. 다양한 제품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들이 운영됐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유공자 표창과 장애인직업재활 정책 세미나와 간담회 등도 진행됐다. 특히,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열린 ‘우선구매 제도 설명회’에서는 2백여 명의 구매 담당자들에게 중증장애인생산품의 경쟁력을 알리고 우선구매 제도 이행률을 높이기 위한 활동도 이어졌다.
이번 백서에는 박람회의 정량·정성적 평가뿐 아니라, 참가 기관과 관람객들의 다양한 피드백도 수록해, 향후 행사 개선안 마련 등 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했다.
협회는 지난해 박람회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박람회에서는 프로그램을 더 강화해 공공기관과 민간 바이어들과의 실질적인 비즈니스 매칭 기회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중증장애인생산품에 대한 체험형 전시를 확대하고 제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예정이다.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의 구매 담당자들을 위한 1:1 맞춤형 구매 상담회를 운영하여 실질적인 계약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YTN digital 뉴스팀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