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기사와 무관한 이미지 ⓒ 게티이미지뱅크
AD
최근 코로나19 이후 소비 회복세를 보였던 음식점과 주점업이 다시 침체기를 맞고, 그로 인해 소주와 맥주 가격이 연이어 하락하는 '소맥 디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소주(외식) 가격은 지난해 3월 대비 1.3% 하락하며 7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맥주(외식) 가격도 지난 12월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1999년 이후 26년 만의 일이다.
지난달 외식 소주·맥줏값을 포함한 '전체 외식 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0% 올랐다. 콜라나 사이다 같은 음료 품목인 '기타 음료(외식) 물가'나 '막걸리(외식) 물가'도 상승하는 가운데 유일하게 소주와 맥주만 가격이 내린 것이다.
주류 가격 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은 불황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의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장기평균치를 기준값(100)으로 삼아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현재 소비자심리지수가 4개월 연속 100을 밑돌고 있다. 건설업 불황도 술값 할인 현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상황에 음식점들이 손님을 유치하기 위해 술값을 대폭 할인하는 '눈물의 가격 인하'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음식점들은 소주 반값 행사, 맥주 무료 제공 등 파격적인 혜택을 내세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더불어 저렴한 가격을 내세운 포차형 술집들이 최근 큰 인기를 끌며, 관련 업종들이 급속히 확장하고 있다.
주류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소상공인들이 술값을 대폭 낮추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과거에는 술값을 비싸게 책정하여 높은 이윤을 남기던 방식이 주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술값을 낮춰 단체 손님을 끌어들이려는 경향이 강해졌다는 것이다. 특히 작년 12월 비상계엄 이후 소비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점주들이 술값이라도 낮춰 장사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소맥 디플레이션'은 소비자들에게는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외식을 즐길 기회를 제공하지만, 일각에서는 저가형 술집들이 가격을 내리는 방식이 주변 업소들에 압박을 주는 '죄수의 딜레마'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류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소주(외식) 가격은 지난해 3월 대비 1.3% 하락하며 7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맥주(외식) 가격도 지난 12월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1999년 이후 26년 만의 일이다.
지난달 외식 소주·맥줏값을 포함한 '전체 외식 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0% 올랐다. 콜라나 사이다 같은 음료 품목인 '기타 음료(외식) 물가'나 '막걸리(외식) 물가'도 상승하는 가운데 유일하게 소주와 맥주만 가격이 내린 것이다.
주류 가격 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은 불황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의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장기평균치를 기준값(100)으로 삼아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현재 소비자심리지수가 4개월 연속 100을 밑돌고 있다. 건설업 불황도 술값 할인 현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기사와 무관한 이미지 ⓒ 연합뉴스
이 같은 상황에 음식점들이 손님을 유치하기 위해 술값을 대폭 할인하는 '눈물의 가격 인하'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음식점들은 소주 반값 행사, 맥주 무료 제공 등 파격적인 혜택을 내세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더불어 저렴한 가격을 내세운 포차형 술집들이 최근 큰 인기를 끌며, 관련 업종들이 급속히 확장하고 있다.
주류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소상공인들이 술값을 대폭 낮추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과거에는 술값을 비싸게 책정하여 높은 이윤을 남기던 방식이 주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술값을 낮춰 단체 손님을 끌어들이려는 경향이 강해졌다는 것이다. 특히 작년 12월 비상계엄 이후 소비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점주들이 술값이라도 낮춰 장사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소맥 디플레이션'은 소비자들에게는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외식을 즐길 기회를 제공하지만, 일각에서는 저가형 술집들이 가격을 내리는 방식이 주변 업소들에 압박을 주는 '죄수의 딜레마'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류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