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미국에 공장을 지으면 관세를 물지 않아도 된다"고 한 미국 트럼프 대통령.
이 발언에서 알 수 있듯 고율 관세는 제조업 일자리를 빼앗기 위한 수단인데요.
풍전등화 형국인 우리 제조업 일자리, 이미 내수 부진으로 경고등이 켜진 상태입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내 만 천여 명을 고용한 한국지엠, 지난해 부평과 창원에서 생산된 49만대 가운데 86%(42만 대)가 미국으로 향했습니다.
미국으로 수출된 한국산 자동차 석 대 가운데 한대 꼴입니다. (29%)
미국 행정부가 25% 관세를 부과하자 2차, 3차 협력사까지, 수천 곳에 이르는 협력사 분위기도 얼어붙었습니다.
이미 폐업이 속출한 지역 소상공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근 공인중개사/인천 부평구 : 관세가 이렇다 보니까 그럴(철수할) 수도 있겠다 추측을 하죠. / 요즘엔 제조가 안 되니까…. 그런 데다 5일 근무하니까 상가들이 못 버티죠.]
[김미경 / 인천 부평구 식당경영 : 고금리도 고금리지만 인건비도 일단 비싸고 최저임금이 너무 높다보니까 몇 시간짜리 알바도 주휴수당을 줘야 하고….]
제조업 강국인 한국, 하지만 이미 일자리에서도 위기 신호가 왔습니다.
제조업 취업자 수가 9달 연속 줄더니 지난달에는 1년 전보다 11만 명 2천 명, 4년 4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제조업 취업자는 439만9천 명으로, 관련 통계가 나온 2013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2013년만 해도 17%였지만 2021년 2분기부터 15%대로 떨어진 뒤 반등을 못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제조업 일자리는 내수 회복 지연으로 소비재 경공업이나 기계, 장비 중심으로 감소해왔습니다.
앞으로는 수출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연관 산업까지 고용이 악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노민선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 전례 없는 비상상황인 만큼 보다 적극적인 추경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AI 전문인력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는 일단 10조 규모 추경안을 빨리 편성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대선 정국 속 국회 논의는 큰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촬영기자 이영재
디자인 전휘린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에 공장을 지으면 관세를 물지 않아도 된다"고 한 미국 트럼프 대통령.
이 발언에서 알 수 있듯 고율 관세는 제조업 일자리를 빼앗기 위한 수단인데요.
풍전등화 형국인 우리 제조업 일자리, 이미 내수 부진으로 경고등이 켜진 상태입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내 만 천여 명을 고용한 한국지엠, 지난해 부평과 창원에서 생산된 49만대 가운데 86%(42만 대)가 미국으로 향했습니다.
미국으로 수출된 한국산 자동차 석 대 가운데 한대 꼴입니다. (29%)
미국 행정부가 25% 관세를 부과하자 2차, 3차 협력사까지, 수천 곳에 이르는 협력사 분위기도 얼어붙었습니다.
이미 폐업이 속출한 지역 소상공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근 공인중개사/인천 부평구 : 관세가 이렇다 보니까 그럴(철수할) 수도 있겠다 추측을 하죠. / 요즘엔 제조가 안 되니까…. 그런 데다 5일 근무하니까 상가들이 못 버티죠.]
[김미경 / 인천 부평구 식당경영 : 고금리도 고금리지만 인건비도 일단 비싸고 최저임금이 너무 높다보니까 몇 시간짜리 알바도 주휴수당을 줘야 하고….]
제조업 강국인 한국, 하지만 이미 일자리에서도 위기 신호가 왔습니다.
제조업 취업자 수가 9달 연속 줄더니 지난달에는 1년 전보다 11만 명 2천 명, 4년 4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제조업 취업자는 439만9천 명으로, 관련 통계가 나온 2013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2013년만 해도 17%였지만 2021년 2분기부터 15%대로 떨어진 뒤 반등을 못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제조업 일자리는 내수 회복 지연으로 소비재 경공업이나 기계, 장비 중심으로 감소해왔습니다.
앞으로는 수출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연관 산업까지 고용이 악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노민선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 전례 없는 비상상황인 만큼 보다 적극적인 추경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AI 전문인력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는 일단 10조 규모 추경안을 빨리 편성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대선 정국 속 국회 논의는 큰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촬영기자 이영재
디자인 전휘린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