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정부가 에너지저장장치, ESS 업체들과 만나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와 친환경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을 점검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15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ESS 업계 간담회를 열고 미국 시장 리스크 등을 점검했습니다.
ESS 대미 수출은 전기차 수요 둔화로 줄어든 리튬이온 배터리의 자리를 대신하면서, 지난해 전년 대비 25% 이상 증가한 21억9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조치로 보편관세 10%를 적용받게 됐고, 이후 15%의 개별관세도 추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미국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전력시장에서의 차익거래 등 신시장 확보를 위해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15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ESS 업계 간담회를 열고 미국 시장 리스크 등을 점검했습니다.
ESS 대미 수출은 전기차 수요 둔화로 줄어든 리튬이온 배터리의 자리를 대신하면서, 지난해 전년 대비 25% 이상 증가한 21억9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조치로 보편관세 10%를 적용받게 됐고, 이후 15%의 개별관세도 추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미국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전력시장에서의 차익거래 등 신시장 확보를 위해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