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금감원과 보험회사 '보험사기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보험사기 제보가 4,452건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3,264건(73.3%)이 실제 보험사기 적발로 이어져 521억 원 규모의 보험금 편취를 밝혀냈다고 23일 발표했다.
이에 따른 제보자 포상금은 총 15억 2,000만 원으로, 보험사가 13억 원, 생명·손해보험협회가 2억 2,000만 원을 각각 지급했다.
보험사기 제보 유형 중에서는 자동차보험 관련 사안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음주·무면허 운전(62.4%)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운전자 바꿔치기(10.5%), 고의 충돌(2.2%)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가장 많은 포상금을 받은 사례는 허위 입원환자 사기로, 제보자는 4,400만 원의 포상금을 수령했다.
해당 사건은 실제 환자가 다른 보험 계약자의 명의를 빌려 입원과 도수치료 등을 받고, 병원은 보험 계약자가 치료받은 것으로 허위 서류를 발급해 보험금을 편취하는 방식으로 범행이 이뤄졌다. 해당 보험사기 적발 금액은 58억 2,000만 원에 달했다.
1,000만 원을 초과하는 고액 포상금 지급 사례의 대부분은 병원 내부자의 제보였으며, 업계 종사자에게는 최대 100%의 추가 포상금이 지급됐다.
보험사기 적발 사례를 유형별로 보면, 사고 내용 조작이 85.1%로 가장 많았고, 허위 사고(7.4%)와 고의사고(4.4%)가 그 뒤를 이었다.
음주·무면허 운전(57.6%)과 자동차 사고 조작 및 과장(13.4%) 등 자동차 보험사기 제보에 대한 포상금 지급 비중이 특히 높았다. 고의 충돌 관련 제보의 경우, 건당 포상금 지급액이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금감원은 "보험사기 수법이 점점 조직화되고 음성화되고 있어 국민의 제보가 적발과 처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보험사기 알선·유인 행위에 대해서도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으니 적극적인 제보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에 따른 제보자 포상금은 총 15억 2,000만 원으로, 보험사가 13억 원, 생명·손해보험협회가 2억 2,000만 원을 각각 지급했다.
보험사기 제보 유형 중에서는 자동차보험 관련 사안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음주·무면허 운전(62.4%)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운전자 바꿔치기(10.5%), 고의 충돌(2.2%)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가장 많은 포상금을 받은 사례는 허위 입원환자 사기로, 제보자는 4,400만 원의 포상금을 수령했다.
해당 사건은 실제 환자가 다른 보험 계약자의 명의를 빌려 입원과 도수치료 등을 받고, 병원은 보험 계약자가 치료받은 것으로 허위 서류를 발급해 보험금을 편취하는 방식으로 범행이 이뤄졌다. 해당 보험사기 적발 금액은 58억 2,000만 원에 달했다.
1,000만 원을 초과하는 고액 포상금 지급 사례의 대부분은 병원 내부자의 제보였으며, 업계 종사자에게는 최대 100%의 추가 포상금이 지급됐다.
보험사기 적발 사례를 유형별로 보면, 사고 내용 조작이 85.1%로 가장 많았고, 허위 사고(7.4%)와 고의사고(4.4%)가 그 뒤를 이었다.
음주·무면허 운전(57.6%)과 자동차 사고 조작 및 과장(13.4%) 등 자동차 보험사기 제보에 대한 포상금 지급 비중이 특히 높았다. 고의 충돌 관련 제보의 경우, 건당 포상금 지급액이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금감원은 "보험사기 수법이 점점 조직화되고 음성화되고 있어 국민의 제보가 적발과 처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보험사기 알선·유인 행위에 대해서도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으니 적극적인 제보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