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기아가 올해 1분기에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기아는 연결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이 28조 17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9%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인센티브 증가 등의 여파로 영업이익은 3조 86억 원을 기록해 작년 동기보다 12.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순이익도 14.8% 감소한 2조 3,92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기아는 하이브리드차 등 고부가가치 차종에 대한 고객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관세 적용을 앞둔 미국 시장에서 선구매 수요 등이 증가해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가격 상승과 원자재 가격 하향 안정화, 우호적 환율에도 인센티브 증가와 기저효과 등으로 영업이익은 줄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관세 등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른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으로 향후 어려운 경영환경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기아는 연결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이 28조 17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9%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인센티브 증가 등의 여파로 영업이익은 3조 86억 원을 기록해 작년 동기보다 12.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순이익도 14.8% 감소한 2조 3,92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기아는 하이브리드차 등 고부가가치 차종에 대한 고객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관세 적용을 앞둔 미국 시장에서 선구매 수요 등이 증가해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가격 상승과 원자재 가격 하향 안정화, 우호적 환율에도 인센티브 증가와 기저효과 등으로 영업이익은 줄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관세 등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른 실물 경제 침체 가능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으로 향후 어려운 경영환경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