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해킹을 당한 SK텔레콤의 유심 무료 교체 사흘째, 오후인 지금도 여전히 유심 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현장을 방문한 분들이 계셨는데 대부분 어르신이었습니다. 온라인 예약이 가능하지만 이런 과정이 낯설어 무조건 현장을 찾고 있는 것인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동건 기자!
[기자]
네. 서울 양재역에 있는 SKT 직영점 앞에 나와있습니다.
[앵커]
오후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여전히 유심은 풀리지 않고 있습니다.
양재역, 이곳도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고 부근에서 가장 큰 매장임에 유심 재고는 없습니다.
앞선 이틀 동안 SK 측에서 영업점마다 한정된 물량을 풀었다면, 오늘은 제가 방문한 근처 매장 모두 유심칩은 아예 없었습니다.
매장마다 현장 유심교체 예약 가능 기간을 고지하고 있는데 5월도 이미 다 차서 6월만 가능하다는 곳도 있었습니다,
실제로 어제 하루 유심 교체를 받은 가입자가 13만8천 명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유심 무상 교체 첫날 23만 명이 유심 교체에 성공한 데 비하면 절반으로 줄어든 수치로, 유심 물량 부족 등이 원인인 것으로 보입니다.
SK텔레콤 측은 지난 22일부터 어제까지 유심 무상 교체를 받은 인원이 누적 70만5천 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그럼 현장에 방문한 분들은 어떤 분들인가요?
[기자]
대부분 이렇게 온라인에서 유심 교환 예약을 받는다는 고지를 보고 돌아가거나 예약 절차가 까다로워 도움이 필요한 어르신들이 줄을 섰습니다.
저도 매장문을 열기 전 부탁을 받아 직접 예약 신청을 도와드려야 했습니다.
대부분 눈도 안 보이는데 어떻게 이걸 직접 하느냐는 의견이었습니다. 들어보시지요,
[장성욱 / SK가입자 : (유심을) 돈 주고 살 수 있냐고 하니까 없기 때문에 돈 주고 살 수 없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나왔어요. 자세한 걸 모르기 때문에 우리 애들하고 한번 상의해보려고요. (유심보호서비스랑 교체) 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그냥 왔어요.]
고령자들은 특히 정보 소외 때문에 유심을 바꾸지 못하면 해킹되는 것 아니냐며 불안함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유심 교체는 계속 더디게 진행되는 가운데 SK가 정보 탈취 등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자가 1천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현장의 어르신들은 유심 교체 서비스와 안심 보호 서비스가 같은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많아서 어르신을 위한 종합 대책 등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 양재역에 있는 SKT 직영점 앞에서 YTN 오동건입니다.
YTN 오동건 (odk798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해킹을 당한 SK텔레콤의 유심 무료 교체 사흘째, 오후인 지금도 여전히 유심 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현장을 방문한 분들이 계셨는데 대부분 어르신이었습니다. 온라인 예약이 가능하지만 이런 과정이 낯설어 무조건 현장을 찾고 있는 것인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동건 기자!
[기자]
네. 서울 양재역에 있는 SKT 직영점 앞에 나와있습니다.
[앵커]
오후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여전히 유심은 풀리지 않고 있습니다.
양재역, 이곳도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고 부근에서 가장 큰 매장임에 유심 재고는 없습니다.
앞선 이틀 동안 SK 측에서 영업점마다 한정된 물량을 풀었다면, 오늘은 제가 방문한 근처 매장 모두 유심칩은 아예 없었습니다.
매장마다 현장 유심교체 예약 가능 기간을 고지하고 있는데 5월도 이미 다 차서 6월만 가능하다는 곳도 있었습니다,
실제로 어제 하루 유심 교체를 받은 가입자가 13만8천 명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유심 무상 교체 첫날 23만 명이 유심 교체에 성공한 데 비하면 절반으로 줄어든 수치로, 유심 물량 부족 등이 원인인 것으로 보입니다.
SK텔레콤 측은 지난 22일부터 어제까지 유심 무상 교체를 받은 인원이 누적 70만5천 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그럼 현장에 방문한 분들은 어떤 분들인가요?
[기자]
대부분 이렇게 온라인에서 유심 교환 예약을 받는다는 고지를 보고 돌아가거나 예약 절차가 까다로워 도움이 필요한 어르신들이 줄을 섰습니다.
저도 매장문을 열기 전 부탁을 받아 직접 예약 신청을 도와드려야 했습니다.
대부분 눈도 안 보이는데 어떻게 이걸 직접 하느냐는 의견이었습니다. 들어보시지요,
[장성욱 / SK가입자 : (유심을) 돈 주고 살 수 있냐고 하니까 없기 때문에 돈 주고 살 수 없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나왔어요. 자세한 걸 모르기 때문에 우리 애들하고 한번 상의해보려고요. (유심보호서비스랑 교체) 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그냥 왔어요.]
고령자들은 특히 정보 소외 때문에 유심을 바꾸지 못하면 해킹되는 것 아니냐며 불안함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유심 교체는 계속 더디게 진행되는 가운데 SK가 정보 탈취 등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자가 1천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현장의 어르신들은 유심 교체 서비스와 안심 보호 서비스가 같은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많아서 어르신을 위한 종합 대책 등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 양재역에 있는 SKT 직영점 앞에서 YTN 오동건입니다.
YTN 오동건 (odk798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