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을만하면 고개드는 결핵, 원인과 대책은?

잊을만하면 고개드는 결핵, 원인과 대책은?

2017.12.07. 오후 2: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엄중식 /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앵커]
대표적인 후진국병 가운데 하나죠. 결핵이 노량진 학원가에서 발생해서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문가를 전화로 연결해서 결핵과 관련한 주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화로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연결돼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앵커]
결핵 감염 사실, 가끔씩 이렇게 잊을 만하면 다시 또 뉴스가 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해마다 3만 명이 결핵 진단을 받는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결핵 환자가 많은 이유가 있습니까?

[인터뷰]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가 있겠는데요. 먼저 결핵 자체가 특히 폐결핵의 경우에는 사람에서 사람으로 결핵균이 전파되는 데 있어서 기침을 할 때 나오는 결핵균이 공기 전파라고 해서 아주 멀리까지 퍼지는 특성이 있어서 폐결핵에 걸리는 경우에 바로 진단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것도 1~2주 이상 증상이 안 좋아지는 경우에 엑스레이를 찍고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서 이 기간 동안에 결핵균에 노출되는 사람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또 결핵이 진단돼서 치료하는 기간에는 음압격리실에서 전염력이 없어질 때까지 입원을 하거나 자가격리를 해야 되는데 메르스 유행 이전에는 음압격리실이 대형병원에도 없거나 부족했고 자가격리도 직장 문제라든지 학업 문제 때문에 제대로 관리가 안 되었습니다.

거기다가 결핵균에 노출된 사람의 경우에는 감염이 돼서 잠복 상태에 있는지 확인하고 잠복결핵이 확인이 되면 치료를 해야 되는데 이 잠복결핵 관리가 얼마 전까지, 특히 국가에서의 관리가 잘 안 되었다는 것이 중요한 원인이 되겠습니다.

[앵커]
기본적으로 결핵 감염자가 그만큼 많다는 얘기가 되겠네요?

[인터뷰]
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도 결핵 환자가 줄지 않는 거의 유일한 나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말씀하신 것처럼 OECD 국가 가운데 유병률, 그러니까 결핵 감염증을 갖고 있는 환자와 또 사망률 이 부분에서 사실상 1위인데요. 우리나라 국민들이 이렇게 결핵에 취약한 유전적인 이유가 따로 있나요?

[인터뷰]
우리나라 사람이라고 해서 유전적인 그런 특성이 있는 것은 아니고 현재 결핵이 많이 잘 조절되고 있는 선진국도 1960년대, 70년대까지는 결핵 발생률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인종적인 특성하고는 무관하다고 보고 대신에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아서 밀접접촉이 많은 그런 나라이기 때문에 좀 더 결핵 관리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통계 가운데 다제내성 결핵 환자 수도 1위라고 돼 있거든요, OECD 가입국 가운데. 다제내성 결핵 환자라는 게 어떤겁니까? 다제내성이라는 것이?

[인터뷰]
결핵 치료를 하려면 3~4가지 약을 동시에 복용을 해야 되고 이런 결핵에 효과가 있는 약은 한 10가지 정도밖에 안 되는데 이런 결핵약 여러 가지에 내성을 갖고 있는 결핵균을 다제내성 결핵균이라고 합니다.

[앵커]
그렇군요.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 가운데 결핵에 걸릴 위험이 높은 군에 있는 사람들이 따로 있을까요?

[인터뷰]
특정한 군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활동성 폐결핵 환자하고 밀접 접촉을 한 분이 가장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면역력이 감소되는 연령, 그러니까 65세 이상이거나 5세 이하 연령층이나 어떤 특정한 질병 때문에 면역이 이미 감소되어 있는 환자들, 그러니까 암치료를 하거나 장기 이식을 받거나 아니면 간이나 콩팥, 심장 이런 주요 장기에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 당뇨병 환자들 같은 경우에는 발병을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앵커]
특별한 위험군을 갖고 있는 인구분포가 있거나 그런 것은 아니다, 그런 말씀이시네요?

[인터뷰]
네.

[앵커]
그런데 이 증상이 감기하고 좀 비슷하죠?

[인터뷰]
네.

[앵커]
이게 결핵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감기인지 구분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인터뷰]
초기 증상 감별이 어려운 게 열이 나고 기침이 나는 그런 증상이 감기하고 매우 비슷하기 때문인데 감기와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감기는 보통 증상이 발생하고 2~3일 이내에 증상이 좋아지기 시작하고 일주일 이내면 증상이 사라집니다.

그렇지만 결핵은 증상이 2~3일이 지나도 좋아지지 않고 점점 나빠지고 일주일이 지나도 더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주일 이내에 좋아지지 않는 감기 증상이 있다 그러면 반드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앵커]
일주일 이상 계속되는 감기는 일단 의심을 해 봐야 되겠군요?

[인터뷰]
네, 맞습니다.

[앵커]
결핵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인터뷰]
일단은 건강상태를 잘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면역력이 잘 유지되는 건강상태라면 결핵이 발생할 가능성이 굉장히 낮아집니다. 그래서 전신 상태를 항상 좋게 관리하는 생활 관리를 잘하는 것이 중요하겠고요.

그다음 다른 사람한테 이런 질병이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기침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마스크 착용을 못한 경우에는 손수건이나 휴지로 입을 가리고 기침을 하거나 그것도 안 되면 옷 소매로 입을 가리는 기침 예절을 잘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앵커]
면역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생활관리를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일반적인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되기에는 그러니까 잘 자고 잘 먹고 무리하지 말아야 된다는 그런 얘기가 되나요?

[인터뷰]
너무 원론적인 얘기 같지만 피로가 누적이 되면 안 됩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어떤 정신적 또는 신체적인 스트레스가 쌓였을 때 그것을 해소할 수 있는, 바로바로 해소할 수 있는 생활패턴을 가져야 되겠고 이런 것들이 누적이 되면 결국은 전신 상태가 나빠지게 되고 면역력도 떨어지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한 관리를 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앵커]
혹시 이게 폐 질환이기 때문에 흡연과도 관계 있을까 싶은데 어떻습니까?

[인터뷰]
흡연 자체가 결핵 발생을 더 증가시킨다라는 그런 근거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결핵 환자가 흡연을 계속 유지하는 경우, 또 오랫동안 흡연을 한 분들은 폐의 상태 자체가 나빠지기 때문에 결핵에 의한 악화와 중복이 되면서 폐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질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금연은 굉장히 기본적인 사안이 되겠죠.

[앵커]
그렇군요. 말씀 잘 들었습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인터뷰]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