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이웅혁 /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김광삼 / 변호사
[앵커]
강진 여고생 사건과 관련한 수사 상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고생의 머리카락이 잘린 상태로 발견이 돼서 이 부분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는데 부패로 빠진 게 아니라 일부러 자른 정황이 나온 거죠?
[인터뷰]
그렇죠. 일반적인 경우는 부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들짐승이라든가 이런 것이 물고서 다른 곳으로 옮겨가서 머리카락 자체가 없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또는 만약에 이번 상황에 있어서 증거를 철저하게 인멸하기 위해서. 왜냐하면 피해자의 신원 특정을 방해하기 위해서 그와 같은 인위적인 행위를 할 수가 있었던 것도 같은데 또는 이런 생각도 해 봅니다.
국내에서도 실제 발생했던 사안이고 해외에서도 있었던 사건인데 특정적인 성적인 왜곡에 관심이 있는 이런 용의자들은 피해자의 소지품이라든가 심지어 신체 일부를 절단을 해서 운반하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비밀스러운 폐쇄공간에 이것을 갖다놓는 경우도 상당히 많이 있죠. 그러면 이것은 뭐냐하면 일회성에 그친 것이 아니고 수회에 걸쳐서 이와 같은 행위를 했다라고 하는 또 다른 반증이 되는 것이죠.
그 한편으로 봐서는 지금 이 사람의 직업과도 무엇인가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요. 왜냐하면 머리카락이라고 하는 것은 아주 예민한 장비, 장구를 사용해서 절단이 됐다라고 한다면 혹시 개농장을 하기 때문에 이것은 결국 도축도 할 수 있다라는 얘기이기 때문에 그것과 관련된 일정한 장비, 장구를 소지하고 있다가 자신이 생각하는 피해 여성에 대해서 어떤 마음을 갖게 되느냐. 나의 기념품, 나의 전리품으로 이 신체의 일부를 가져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는 이 사람의 자택 내에 세세한 수색이 있어야 되지 않는가 그런 생각도 많이 듭니다.
과연 이것이 어느 장소에 갖다놓은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여성 편력과 관련돼서 여성의 특정적인 소지품이라든가 이것을 평상시에 수집을 해 놓은 것은 아닌 것인지. 그래서 어제 YTN의 단독 보도는 또 다른 수사의 한 방향을 제안하고 있는 상황이 아닌가 저는 그런 생각이 듭니다.
[앵커]
설명을 해 주신 것처럼 실종된 여고생의 머리카락이 짧게 잘려나가 있는 상태. 그러니까 삭발돼 있는 상태라는 것으로 다양한 가능성을 얘기를 해 주셨는데 그렇다면 용의자가 이번 범행이 처음이 아닐 수 있다는 그런 심증도 가질 수 있는 건가요?
[인터뷰]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생각을 해요. 거의 확정적으로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사실 머리를 자른 것 자체가 증거를 인멸한다든가 그거와는 상관이 없을 것 같아요. 왜냐하면 머리를 잘랐다고 해서 뿌리는 남아 있는 것이고 또 표피가 남아 있기 때문에 DNA 검사를 하고 신원 확인하는 데는 별 문제가 없어요. 그렇다고 한다면 저 범행 자체는 일종의 용의자의 하나의 범행의 습성이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이 사람이 굉장히 완전범죄를 시도한 사람이에요. 그래서 휴대폰 자체에서도 통화내역이랄지 그런 흔적이 전혀 안 남잖아요. 그것 자체는 제가 볼 때는 향후 수사에 대비해서 구두로, 그러니까 일주일 전에 학교에서 만났잖아요. 그때 얘기를 하고 그런 식으로 진행을 한 것이지 통신 내역은 전혀 남기지 않은 것은 완전범죄이고 그다음에 범죄 행위 방법을 쭉 보면 CCTV과 관련된 부분에서 피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갔다 와서 옷가지도 태웠지 않습니까? 본인이 목욕도 했어요. 또 저녁에 수사에 혼선을 주기 위해서 저수지도 갔다 왔고 이런 여러 가지를 보면 이게 처음 범행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그러니까 완전범죄를 이제까지 해왔다는 거죠. 그러면 이번 여고생 사건에 있어서도 이 여고생이 친구에게 SNS를 통해서 위험하다랄지 내가 아르바이트를 간다는 것을 며칠 전에 안 남겼다고 한다면 단서를 어디지 잡을 수 있겠어요. 이거 완전범죄로 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거든요. 그래서 저렇게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은 저것도 일종의 범죄의 습성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전에도 또 다른 범행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도 상당히 크다.
그리고 이 사람이 산 지역이 강남 그쪽 아닙니까? 그런데 전라남도에서 여성 실종 사건이 155명 정도 있었어요, 전에. 강진 지역에서요. 그 기간을 특정해서 보면. 그런데 2016년도에서 현재까지 그렇습니다.
그런데 사실 강진이나 해남, 영암, 장흥 이쪽이 굉장히 가까운 데거든요. 그런데 전남에서도 좁혀서 보면 그 지역에서도 상당히 많이 있다는 것. 그리고 이 용의자가 2000년도에 강진군 도암면에 살았었는데 거기서 초등학생 여학생이 2명 실종된 경우가 있었고 또 이 사람의 주거지에서 10km밖에 안 떨어져 있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지금은 추론을 해 봅니다마는 이번에 나타난 범죄의 습성이랄지 하는 행태를 보면 이건 처음 범행이 아니라는 생각이 저는 들어요.
그래서 이런 부분에서 경찰에서 전력투구해서 진실을 밝혀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지 않은가 싶습니다.
[앵커]
말씀하신 것처럼 그러니까 17년 전, 또 18년 전 6월에 두 번의 초등학교 학생 실종사건이 있었습니다. 저희가 그 내용을 정리를 해 보여드리고 있는데요.
2000년 6월 5일에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이 같은 학교 다니던 오빠를 기다리다가 실종이 된 사건이 있었고요. 2001년 6월에는 1학년 김 모 양이 학교에서 집으로 가다가 실종이 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것이 모두 강력한 용의자로 지목되고 있는 이 사람이 거주하고 있었던 곳에서 그렇게 멀지 않은 곳에서 발생했던 사건이라 경찰이 이 부분도 살펴보고 있는 거죠?
[인터뷰]
그렇습니다. 어떤 면에서 본다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자일 가능성이 농후할 수가 있겠죠, 만약에 이것이 사실이라고 한다면. 그렇다면 본인이 표적으로 하는 대상이 있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정한 하나의 스타일이라고 얘기할까요. 그래서 그것을 표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인데 그러면 가장 잘하는 것이 뭐냐면 이 아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접근하는 방법이 뛰어납니다. 그래서 그것을 이용을 해서 한쪽으로 유괴를 해서 일정한 행위를 하는 것인데요.
시점을 반추해 보면 이 사람이 한 31세 정도에 해당되는 나이였고 그 당시에 직업이 역시 개를 수집해서 팔고 또 트럭을 몰고 다니고 이런 행위였던 것 같습니다. 그러면 강진을 하나의 거점으로 해서 주변에 있는 여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가지 성적인 비행 행위를 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지 않겠는가.
그래서 지금 강진에 거주해서 없어진 학생이 2명인데 지금 중학생까지 합치게 되면 한 3명, 5명까지도 영암, 해남 지역에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 당시에 과연 어떠한 상황에서 실종이 되었고 또 실종된 사람들의 공통점이 무엇인 건지. 그래서 이것이 동일인에 의해서 이루어졌던 것인지 이런 것이 수사가 이루어져야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되고요.
이번에 자살한 이유도 저는 이런 생각을 해 봤는데요. 지금까지는 다 성공적으로 완전히 나는 용의선상에서 없었는데 이번 사건을 포함해서. 그러니까 20년 전의 사건을 포함해서. 그래서 증거에 관한 인멸과 소각행위를 다 했는데 뜻하지 않게 엄마가 찾아와서 나를 용의자선상에 있다보니까 혹시 과거에 저질렀던 사건도 내가 들킬 우려도 있겠다는 생각도 함께 들었을 가능성. 그래서 극단적인 선택까지 했던 것은 아닌가도 한번 추정해 보는데요.
어쨌든 저는 개인적으로 이 사람이 지금까지 어떤 식으로 사회생활을 해 왔고 평판은 어땠고 지금 자기 집 내에서 어떠한 공간들을 이용했는지에 관한 압수수색도 있어야 될 필요가 있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
[앵커]
17년 전, 18년 전 일이기 때문에 시간상으로는 조금 차이가 있어 보이기는 합니다마는 가능성을 모두 열어놓고 경찰이 지금 수사를 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사건사고 소식 함께 짚어봤습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김광삼 변호사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앵커]
강진 여고생 사건과 관련한 수사 상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고생의 머리카락이 잘린 상태로 발견이 돼서 이 부분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는데 부패로 빠진 게 아니라 일부러 자른 정황이 나온 거죠?
[인터뷰]
그렇죠. 일반적인 경우는 부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들짐승이라든가 이런 것이 물고서 다른 곳으로 옮겨가서 머리카락 자체가 없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또는 만약에 이번 상황에 있어서 증거를 철저하게 인멸하기 위해서. 왜냐하면 피해자의 신원 특정을 방해하기 위해서 그와 같은 인위적인 행위를 할 수가 있었던 것도 같은데 또는 이런 생각도 해 봅니다.
국내에서도 실제 발생했던 사안이고 해외에서도 있었던 사건인데 특정적인 성적인 왜곡에 관심이 있는 이런 용의자들은 피해자의 소지품이라든가 심지어 신체 일부를 절단을 해서 운반하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비밀스러운 폐쇄공간에 이것을 갖다놓는 경우도 상당히 많이 있죠. 그러면 이것은 뭐냐하면 일회성에 그친 것이 아니고 수회에 걸쳐서 이와 같은 행위를 했다라고 하는 또 다른 반증이 되는 것이죠.
그 한편으로 봐서는 지금 이 사람의 직업과도 무엇인가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요. 왜냐하면 머리카락이라고 하는 것은 아주 예민한 장비, 장구를 사용해서 절단이 됐다라고 한다면 혹시 개농장을 하기 때문에 이것은 결국 도축도 할 수 있다라는 얘기이기 때문에 그것과 관련된 일정한 장비, 장구를 소지하고 있다가 자신이 생각하는 피해 여성에 대해서 어떤 마음을 갖게 되느냐. 나의 기념품, 나의 전리품으로 이 신체의 일부를 가져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는 이 사람의 자택 내에 세세한 수색이 있어야 되지 않는가 그런 생각도 많이 듭니다.
과연 이것이 어느 장소에 갖다놓은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여성 편력과 관련돼서 여성의 특정적인 소지품이라든가 이것을 평상시에 수집을 해 놓은 것은 아닌 것인지. 그래서 어제 YTN의 단독 보도는 또 다른 수사의 한 방향을 제안하고 있는 상황이 아닌가 저는 그런 생각이 듭니다.
[앵커]
설명을 해 주신 것처럼 실종된 여고생의 머리카락이 짧게 잘려나가 있는 상태. 그러니까 삭발돼 있는 상태라는 것으로 다양한 가능성을 얘기를 해 주셨는데 그렇다면 용의자가 이번 범행이 처음이 아닐 수 있다는 그런 심증도 가질 수 있는 건가요?
[인터뷰]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생각을 해요. 거의 확정적으로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사실 머리를 자른 것 자체가 증거를 인멸한다든가 그거와는 상관이 없을 것 같아요. 왜냐하면 머리를 잘랐다고 해서 뿌리는 남아 있는 것이고 또 표피가 남아 있기 때문에 DNA 검사를 하고 신원 확인하는 데는 별 문제가 없어요. 그렇다고 한다면 저 범행 자체는 일종의 용의자의 하나의 범행의 습성이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이 사람이 굉장히 완전범죄를 시도한 사람이에요. 그래서 휴대폰 자체에서도 통화내역이랄지 그런 흔적이 전혀 안 남잖아요. 그것 자체는 제가 볼 때는 향후 수사에 대비해서 구두로, 그러니까 일주일 전에 학교에서 만났잖아요. 그때 얘기를 하고 그런 식으로 진행을 한 것이지 통신 내역은 전혀 남기지 않은 것은 완전범죄이고 그다음에 범죄 행위 방법을 쭉 보면 CCTV과 관련된 부분에서 피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갔다 와서 옷가지도 태웠지 않습니까? 본인이 목욕도 했어요. 또 저녁에 수사에 혼선을 주기 위해서 저수지도 갔다 왔고 이런 여러 가지를 보면 이게 처음 범행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그러니까 완전범죄를 이제까지 해왔다는 거죠. 그러면 이번 여고생 사건에 있어서도 이 여고생이 친구에게 SNS를 통해서 위험하다랄지 내가 아르바이트를 간다는 것을 며칠 전에 안 남겼다고 한다면 단서를 어디지 잡을 수 있겠어요. 이거 완전범죄로 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거든요. 그래서 저렇게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은 저것도 일종의 범죄의 습성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전에도 또 다른 범행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도 상당히 크다.
그리고 이 사람이 산 지역이 강남 그쪽 아닙니까? 그런데 전라남도에서 여성 실종 사건이 155명 정도 있었어요, 전에. 강진 지역에서요. 그 기간을 특정해서 보면. 그런데 2016년도에서 현재까지 그렇습니다.
그런데 사실 강진이나 해남, 영암, 장흥 이쪽이 굉장히 가까운 데거든요. 그런데 전남에서도 좁혀서 보면 그 지역에서도 상당히 많이 있다는 것. 그리고 이 용의자가 2000년도에 강진군 도암면에 살았었는데 거기서 초등학생 여학생이 2명 실종된 경우가 있었고 또 이 사람의 주거지에서 10km밖에 안 떨어져 있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지금은 추론을 해 봅니다마는 이번에 나타난 범죄의 습성이랄지 하는 행태를 보면 이건 처음 범행이 아니라는 생각이 저는 들어요.
그래서 이런 부분에서 경찰에서 전력투구해서 진실을 밝혀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지 않은가 싶습니다.
[앵커]
말씀하신 것처럼 그러니까 17년 전, 또 18년 전 6월에 두 번의 초등학교 학생 실종사건이 있었습니다. 저희가 그 내용을 정리를 해 보여드리고 있는데요.
2000년 6월 5일에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이 같은 학교 다니던 오빠를 기다리다가 실종이 된 사건이 있었고요. 2001년 6월에는 1학년 김 모 양이 학교에서 집으로 가다가 실종이 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것이 모두 강력한 용의자로 지목되고 있는 이 사람이 거주하고 있었던 곳에서 그렇게 멀지 않은 곳에서 발생했던 사건이라 경찰이 이 부분도 살펴보고 있는 거죠?
[인터뷰]
그렇습니다. 어떤 면에서 본다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자일 가능성이 농후할 수가 있겠죠, 만약에 이것이 사실이라고 한다면. 그렇다면 본인이 표적으로 하는 대상이 있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정한 하나의 스타일이라고 얘기할까요. 그래서 그것을 표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인데 그러면 가장 잘하는 것이 뭐냐면 이 아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접근하는 방법이 뛰어납니다. 그래서 그것을 이용을 해서 한쪽으로 유괴를 해서 일정한 행위를 하는 것인데요.
시점을 반추해 보면 이 사람이 한 31세 정도에 해당되는 나이였고 그 당시에 직업이 역시 개를 수집해서 팔고 또 트럭을 몰고 다니고 이런 행위였던 것 같습니다. 그러면 강진을 하나의 거점으로 해서 주변에 있는 여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가지 성적인 비행 행위를 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지 않겠는가.
그래서 지금 강진에 거주해서 없어진 학생이 2명인데 지금 중학생까지 합치게 되면 한 3명, 5명까지도 영암, 해남 지역에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 당시에 과연 어떠한 상황에서 실종이 되었고 또 실종된 사람들의 공통점이 무엇인 건지. 그래서 이것이 동일인에 의해서 이루어졌던 것인지 이런 것이 수사가 이루어져야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되고요.
이번에 자살한 이유도 저는 이런 생각을 해 봤는데요. 지금까지는 다 성공적으로 완전히 나는 용의선상에서 없었는데 이번 사건을 포함해서. 그러니까 20년 전의 사건을 포함해서. 그래서 증거에 관한 인멸과 소각행위를 다 했는데 뜻하지 않게 엄마가 찾아와서 나를 용의자선상에 있다보니까 혹시 과거에 저질렀던 사건도 내가 들킬 우려도 있겠다는 생각도 함께 들었을 가능성. 그래서 극단적인 선택까지 했던 것은 아닌가도 한번 추정해 보는데요.
어쨌든 저는 개인적으로 이 사람이 지금까지 어떤 식으로 사회생활을 해 왔고 평판은 어땠고 지금 자기 집 내에서 어떠한 공간들을 이용했는지에 관한 압수수색도 있어야 될 필요가 있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
[앵커]
17년 전, 18년 전 일이기 때문에 시간상으로는 조금 차이가 있어 보이기는 합니다마는 가능성을 모두 열어놓고 경찰이 지금 수사를 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사건사고 소식 함께 짚어봤습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김광삼 변호사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