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제주 저수지에서 아프리카 열대 우림에 사는 뱀이 발견됐다.
제주대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는 지난 16일 제주시 애월읍 수산저수지 인근에 버려진 상자에 있던 '볼 파이톤'을 구조해 보호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공비단뱀으로 불리는 볼 파이톤은 아프리카 열대성 우림에 서식하는 파충류다.
볼 파이톤은 국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어 야생동물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양도 양수 증명서를 소지하게 돼 있다.
구조센터 측은 뱀이 상자에 담긴 채로 발견돼 애완용으로 기르다 유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윤영민 제주대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장은 "이 볼 파이톤은 유기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같은 외래종 유기 동물 중 일부라도 제주 자연환경에 적응할 경우 생태계 교란이 일어날 수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고 말했다.
제주에서는 지난 2016년에도 제주시 도련동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서 대형 볼 파이톤이 출현해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제주대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는 지난 16일 제주시 애월읍 수산저수지 인근에 버려진 상자에 있던 '볼 파이톤'을 구조해 보호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공비단뱀으로 불리는 볼 파이톤은 아프리카 열대성 우림에 서식하는 파충류다.
볼 파이톤은 국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어 야생동물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양도 양수 증명서를 소지하게 돼 있다.
구조센터 측은 뱀이 상자에 담긴 채로 발견돼 애완용으로 기르다 유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윤영민 제주대 제주야생동물구조센터장은 "이 볼 파이톤은 유기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같은 외래종 유기 동물 중 일부라도 제주 자연환경에 적응할 경우 생태계 교란이 일어날 수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고 말했다.
제주에서는 지난 2016년에도 제주시 도련동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서 대형 볼 파이톤이 출현해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