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서울 광진구의 실내체육시설 등 일상 공간 곳곳에서 조용한 감염 확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다음 달 2일까지를 특별방역관리 주간으로 정하고 확산세 잡기에 나선 가운데 서울시도 야외 시설과 방역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점검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김다연 기자!
첫 확진자가 나오고 2주가 지난 지금까지도 집단감염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거죠?
[기자]
네 확진자가 나오고 이곳 시설은 앞서 2주 동안 문을 닫은 뒤 어제부터 영업을 재개했는데요.
서울시는 오늘(27일) 새벽 0시 기준으로 관련 확진자는 50명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가운데 서울시 내 확진자만 46명입니다.
지난 9일 이용자 한 명이 확진된 뒤 감염자가 꾸준히 늘어 두자릿수로 번진 건데요.
이곳은 헬스장과 사우나, 골프연습장 등이 한데 모여있는 구조입니다.
역학조사 결과 해당 시설은 방역수칙 게시와 출입자 관리, 주기적 소독 등은 잘 지켜왔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지하에 있어 환기가 어렵고, 일부 이용자는 마스크 착용이 미흡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확산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는 건 이렇게 기존 집단감염 사례에서 확진자가 꾸준히 나오는 데다, 다양한 일상 공간에서 신규 사례가 나오고 있기 때문인데요.
경기도 성남시의 한 운동시설과 관련해서는 열 명이 한꺼번에 추가 확진돼 지난 22일 이후 확진자 14명이 나왔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일주일 동안 직장 관련 감염 사례가 가장 많았고 카페와 음식점, 모임, 다중이용시설 등이 뒤를 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사례를 보면 서울 강남에 있는 댄스연습실과 이미 백신 접종이 이뤄진 성동구의 돌봄시설에서도 잇따라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댄스연습실의 경우, 하루 새 4명이 추가돼 전국적으로는 28명이 확진됐습니다.
서울시는 수강생과 강사가 연습실을 옮겨 다니며 춤을 춰 추가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조용한 감염확산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유행 통제가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방역 당국이 다음 달 2일까지를 특별방역관리주간으로 지정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다음 달 어린이날 등 연휴가 이어지는 만큼 지금이 4차 유행을 막는 분수령이 될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심상치 않은 증가세에 정부는 이번 주를 특별 방역관리주간으로 정했는데요.
핵심은 공공 부문의 회식과 모임 금지입니다.
업무 외 필요 없는 만남은 자제해달라는 취지인데요.
다음 달 2일까지 일주일 동안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재택근무와 시차 출퇴근제도 확대됩니다.
방역 당국은 기업 등 민간 부문도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는데요.
서울시도 시민이 많이 몰리는 시설과 방역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현장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강남과 이태원 등 유흥시설이 밀집한 번화가 7곳에 합동 점검반을 투입하고 적발될 경우 원스트라이크아웃제를 적용해 집합금지와 과태료 부과 등의 처분을 내립니다.
또 봄철 이용객이 급증한 청계천과 한강공원 등 야외시설을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다음 달 1일부터는 주말마다 쇼핑센터 특별 점검에 나설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서울 광진구의 실내체육시설 앞에서 YTN 김다연[kimdy0818@ytn.co.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서울 광진구의 실내체육시설 등 일상 공간 곳곳에서 조용한 감염 확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다음 달 2일까지를 특별방역관리 주간으로 정하고 확산세 잡기에 나선 가운데 서울시도 야외 시설과 방역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점검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김다연 기자!
첫 확진자가 나오고 2주가 지난 지금까지도 집단감염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거죠?
[기자]
네 확진자가 나오고 이곳 시설은 앞서 2주 동안 문을 닫은 뒤 어제부터 영업을 재개했는데요.
서울시는 오늘(27일) 새벽 0시 기준으로 관련 확진자는 50명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가운데 서울시 내 확진자만 46명입니다.
지난 9일 이용자 한 명이 확진된 뒤 감염자가 꾸준히 늘어 두자릿수로 번진 건데요.
이곳은 헬스장과 사우나, 골프연습장 등이 한데 모여있는 구조입니다.
역학조사 결과 해당 시설은 방역수칙 게시와 출입자 관리, 주기적 소독 등은 잘 지켜왔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지하에 있어 환기가 어렵고, 일부 이용자는 마스크 착용이 미흡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확산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는 건 이렇게 기존 집단감염 사례에서 확진자가 꾸준히 나오는 데다, 다양한 일상 공간에서 신규 사례가 나오고 있기 때문인데요.
경기도 성남시의 한 운동시설과 관련해서는 열 명이 한꺼번에 추가 확진돼 지난 22일 이후 확진자 14명이 나왔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일주일 동안 직장 관련 감염 사례가 가장 많았고 카페와 음식점, 모임, 다중이용시설 등이 뒤를 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사례를 보면 서울 강남에 있는 댄스연습실과 이미 백신 접종이 이뤄진 성동구의 돌봄시설에서도 잇따라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댄스연습실의 경우, 하루 새 4명이 추가돼 전국적으로는 28명이 확진됐습니다.
서울시는 수강생과 강사가 연습실을 옮겨 다니며 춤을 춰 추가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조용한 감염확산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유행 통제가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방역 당국이 다음 달 2일까지를 특별방역관리주간으로 지정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다음 달 어린이날 등 연휴가 이어지는 만큼 지금이 4차 유행을 막는 분수령이 될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심상치 않은 증가세에 정부는 이번 주를 특별 방역관리주간으로 정했는데요.
핵심은 공공 부문의 회식과 모임 금지입니다.
업무 외 필요 없는 만남은 자제해달라는 취지인데요.
다음 달 2일까지 일주일 동안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재택근무와 시차 출퇴근제도 확대됩니다.
방역 당국은 기업 등 민간 부문도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는데요.
서울시도 시민이 많이 몰리는 시설과 방역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현장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강남과 이태원 등 유흥시설이 밀집한 번화가 7곳에 합동 점검반을 투입하고 적발될 경우 원스트라이크아웃제를 적용해 집합금지와 과태료 부과 등의 처분을 내립니다.
또 봄철 이용객이 급증한 청계천과 한강공원 등 야외시설을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다음 달 1일부터는 주말마다 쇼핑센터 특별 점검에 나설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서울 광진구의 실내체육시설 앞에서 YTN 김다연[kimdy0818@ytn.co.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