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람인
AD
성인남녀 10명 가운데 8명은 '주 4일 근무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성인남녀 4,155명을 대상으로 '주 4일 근무제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83.6%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주 4일 근무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휴식권이 보장되고 워라밸 문화가 정착될 수 있어서'(72.4%, 복수응답)가 1위였다.
이어 '충분한 재충전으로 업무 효율이 높아질 것 같아서'(51.7%),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32.1%), '휴일이 늘어 내수가 진작되고 경제가 성장할 것 같아서'(21.2%), '자녀 돌봄 등이 용이해져서'(20.1%), '일자리가 더 많이 창출될 것 같아서'(16%), '부업으로 수입을 높일 수 있어서'(10.7%) 등의 순이었다.
반면 주4일 근무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응답자들(682명)은 그 이유로 '임금이 삭감될 것 같아서'(60.4%,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업무량은 줄지 않고 업무 강도만 높아질 것 같아서'(45.3%), '휴일이 많아 업무 감각과 생산성이 떨어질 것 같아서'(19.6%), '주 4일을 시행 못 하는 일부 직종의 박탈감이 클 것 같아서'(15.4%), '기업 경쟁력이 악화되고 성장이 둔화될 것 같아서'(15.1%), '지출이 늘 것 같아서'(11.4%) 등을 들었다.
전체 응답자의 89.4%가 주 4일제를 실시하는 직장에서 입사 제안이 올 경우 '입사를 고려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임금 감소에 대해서는 이들 중 72.3%가 '감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감내할 수 있는 임금 감소 폭은 평균 7.6%로 집계됐다.
또 응답자의 62.6%는 앞으로 주 4일제가 도입될 것으로 봤다. 도입 예상 시기에 대해서는 ‘2025년’(28.5%), ‘2030년’(20.5%), ‘2023년’(13.6%), ‘2022년’(10.8%), ‘2024년’(7.4%) ‘2026년’(6.4%), ‘2021년’(4.6%) 등의 순으로, 64.9%가 2025년 안에 도입될 것으로 보고 있었다.
YTN digital 이은비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5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성인남녀 4,155명을 대상으로 '주 4일 근무제에 대한 생각'을 조사한 결과, 83.6%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주 4일 근무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휴식권이 보장되고 워라밸 문화가 정착될 수 있어서'(72.4%, 복수응답)가 1위였다.
이어 '충분한 재충전으로 업무 효율이 높아질 것 같아서'(51.7%),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32.1%), '휴일이 늘어 내수가 진작되고 경제가 성장할 것 같아서'(21.2%), '자녀 돌봄 등이 용이해져서'(20.1%), '일자리가 더 많이 창출될 것 같아서'(16%), '부업으로 수입을 높일 수 있어서'(10.7%) 등의 순이었다.
반면 주4일 근무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응답자들(682명)은 그 이유로 '임금이 삭감될 것 같아서'(60.4%,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업무량은 줄지 않고 업무 강도만 높아질 것 같아서'(45.3%), '휴일이 많아 업무 감각과 생산성이 떨어질 것 같아서'(19.6%), '주 4일을 시행 못 하는 일부 직종의 박탈감이 클 것 같아서'(15.4%), '기업 경쟁력이 악화되고 성장이 둔화될 것 같아서'(15.1%), '지출이 늘 것 같아서'(11.4%) 등을 들었다.
전체 응답자의 89.4%가 주 4일제를 실시하는 직장에서 입사 제안이 올 경우 '입사를 고려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임금 감소에 대해서는 이들 중 72.3%가 '감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감내할 수 있는 임금 감소 폭은 평균 7.6%로 집계됐다.
또 응답자의 62.6%는 앞으로 주 4일제가 도입될 것으로 봤다. 도입 예상 시기에 대해서는 ‘2025년’(28.5%), ‘2030년’(20.5%), ‘2023년’(13.6%), ‘2022년’(10.8%), ‘2024년’(7.4%) ‘2026년’(6.4%), ‘2021년’(4.6%) 등의 순으로, 64.9%가 2025년 안에 도입될 것으로 보고 있었다.
YTN digital 이은비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