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노마스크’ 추진 소식에 장병 가족들 반발
"외부 출입 간부들도 있는데"…현역 군인들도 불안
전문가 "위드코로나 전환 앞서 군 방역 완화도 필요"
국방부 "마스크 벗는 것 확정된 사실 아냐"
"외부 출입 간부들도 있는데"…현역 군인들도 불안
전문가 "위드코로나 전환 앞서 군 방역 완화도 필요"
국방부 "마스크 벗는 것 확정된 사실 아냐"
AD
[앵커]
정부가 군 내 마스크 미착용 등 방역 지침을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현역 장병 가족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국방부는 확정된 게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방역 완화 논의는 필요하지만 군은 일반 시민과 전혀 다른 집단이라 군 상황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조언했습니다.
신준명 기자입니다.
[기자]
훈련병 가족들이 소통하는 SNS 공간입니다.
군에서 이른바 '노마스크'를 포함해 방역 완화를 추진한다는 얘기가 전해진 뒤 잇따라 항의하는 게시글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군인은 실험 쥐가 아니다' 라는 등 생체 실험이라는 표현까지 언급하며 격앙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군 장병 가족 : 미 접종인 상태의 훈련병들이 자대에 갈 건데, (접종을 마친) 다른 장병들이 마스크를 벗고 생활하고 운동한다 그러면 (감염 시) 누가 책임을 질 거냐고요.]
전국에서 5개 대대가 이미 '노마스크 실험 대상' 지정부대가 됐다는 주장까지 나오자 현역 병사들도 불안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군 부대가 폐쇄적이라고 해도 외부 출입이 잦은 간부나 군무원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고, 돌파 감염 사례도 늘고 있다는 겁니다.
[현역 병사 : 백신이 100% 예방된다고 확신하지도 못하는 상황인데 이렇게 섣불리 집단 면역 시험 대상을 왜 하필 군만 하나…굉장히 부정적입니다.]
전문가들은 고령층의 90%, 성인 80% 이상이 접종을 완료하면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하겠다고 정부가 밝힌 만큼 그에 앞서 군도 방역 완화 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반면 통제가 쉽고 젊은 층이 대다수인 군은 일반 시민과 전혀 다른 집단이라 군 상황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천은미 /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통제되고 약간의 강제성을 가지고 백신 접종을 하는 집단이고 젊은 집단이고, 이와 똑같은 집단은 일상생활에는 없다는 거죠.]
군 장병의 자발적 참여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인권 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최재욱 /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 : 개인의 건강과 안위에 대해서 피해를 주는 거잖아요. (참가자들의) 자발적 선택을 전제로 하고 거부할 수가 있어야 해요.]
논란이 뜨거워지자 국방부는 마스크를 벗는 것 자체가 확정되지 않은 사실이라고 거듭 선을 그었습니다.
보건당국과도 아직 협의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백신 접종 완료 장병들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방역지침을 완화한다면 국민에도 예방접종을 통한 일상 회복의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신준명입니다.
YTN 신준명 (shinjm75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가 군 내 마스크 미착용 등 방역 지침을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현역 장병 가족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국방부는 확정된 게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방역 완화 논의는 필요하지만 군은 일반 시민과 전혀 다른 집단이라 군 상황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조언했습니다.
신준명 기자입니다.
[기자]
훈련병 가족들이 소통하는 SNS 공간입니다.
군에서 이른바 '노마스크'를 포함해 방역 완화를 추진한다는 얘기가 전해진 뒤 잇따라 항의하는 게시글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군인은 실험 쥐가 아니다' 라는 등 생체 실험이라는 표현까지 언급하며 격앙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군 장병 가족 : 미 접종인 상태의 훈련병들이 자대에 갈 건데, (접종을 마친) 다른 장병들이 마스크를 벗고 생활하고 운동한다 그러면 (감염 시) 누가 책임을 질 거냐고요.]
전국에서 5개 대대가 이미 '노마스크 실험 대상' 지정부대가 됐다는 주장까지 나오자 현역 병사들도 불안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군 부대가 폐쇄적이라고 해도 외부 출입이 잦은 간부나 군무원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고, 돌파 감염 사례도 늘고 있다는 겁니다.
[현역 병사 : 백신이 100% 예방된다고 확신하지도 못하는 상황인데 이렇게 섣불리 집단 면역 시험 대상을 왜 하필 군만 하나…굉장히 부정적입니다.]
전문가들은 고령층의 90%, 성인 80% 이상이 접종을 완료하면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하겠다고 정부가 밝힌 만큼 그에 앞서 군도 방역 완화 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반면 통제가 쉽고 젊은 층이 대다수인 군은 일반 시민과 전혀 다른 집단이라 군 상황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천은미 /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통제되고 약간의 강제성을 가지고 백신 접종을 하는 집단이고 젊은 집단이고, 이와 똑같은 집단은 일상생활에는 없다는 거죠.]
군 장병의 자발적 참여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인권 침해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최재욱 /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 : 개인의 건강과 안위에 대해서 피해를 주는 거잖아요. (참가자들의) 자발적 선택을 전제로 하고 거부할 수가 있어야 해요.]
논란이 뜨거워지자 국방부는 마스크를 벗는 것 자체가 확정되지 않은 사실이라고 거듭 선을 그었습니다.
보건당국과도 아직 협의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백신 접종 완료 장병들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방역지침을 완화한다면 국민에도 예방접종을 통한 일상 회복의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신준명입니다.
YTN 신준명 (shinjm75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