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출처 = YTN
AD
국내 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채용 전형을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는 지난 24일부터 29일까지 국내 365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채용 전형 도입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그 결과 조사에 참여한 전체 기업 중 67.1%, 245개가 '비대면 채용 전형을 운영하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 규모 별로 보면 대기업이 80.4%로 가장 높았고, 이어 중견기업 79.2%, 중소기업 54.9%가 비대면 채용 전형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채용 전형 별로는(복수 응답) '면접관과 화상 면접'을 진행한다는 기업이 54.7%로 가장 많았다. '온라인 인·적성검사'를 진행하는 기업은 47.3%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 중에는 절반 이상이 '온라인 인·적성검사'(61.0%)와 '면접관과 화상 면접'(51.2%)을 실시한다고 답했다. '온라인 필기시험'을 치른다는 기업도 48.8%로 절반에 가까웠다.
중견기업 중에는 '면접관과 화상 면접'을 실시한다는 기업이 53.4%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온라인 인·적성검사'(44.7%), '온라인 필기시험'(39.8%)을 치른다는 답변도 이어졌다.
중소기업 중에도 '면접관과 화상 면접'을 진행한다는 기업이 57.4%로 절반 이상이었다. '온라인 인·적성검사'(44.6%)를 진행한다는 기업이 그 뒤를 이었다.
비대면 채용 전형을 진행하는 기업에 도입 시기를 물은 결과, 전체 참여 기업의 61.6%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이후'라고 답했다. 38.4%는 '올해부터 비대면 채용 전형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YTN digital 문지영 (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는 지난 24일부터 29일까지 국내 365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채용 전형 도입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그 결과 조사에 참여한 전체 기업 중 67.1%, 245개가 '비대면 채용 전형을 운영하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 규모 별로 보면 대기업이 80.4%로 가장 높았고, 이어 중견기업 79.2%, 중소기업 54.9%가 비대면 채용 전형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채용 전형 별로는(복수 응답) '면접관과 화상 면접'을 진행한다는 기업이 54.7%로 가장 많았다. '온라인 인·적성검사'를 진행하는 기업은 47.3%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 중에는 절반 이상이 '온라인 인·적성검사'(61.0%)와 '면접관과 화상 면접'(51.2%)을 실시한다고 답했다. '온라인 필기시험'을 치른다는 기업도 48.8%로 절반에 가까웠다.
중견기업 중에는 '면접관과 화상 면접'을 실시한다는 기업이 53.4%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온라인 인·적성검사'(44.7%), '온라인 필기시험'(39.8%)을 치른다는 답변도 이어졌다.
중소기업 중에도 '면접관과 화상 면접'을 진행한다는 기업이 57.4%로 절반 이상이었다. '온라인 인·적성검사'(44.6%)를 진행한다는 기업이 그 뒤를 이었다.
비대면 채용 전형을 진행하는 기업에 도입 시기를 물은 결과, 전체 참여 기업의 61.6%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이후'라고 답했다. 38.4%는 '올해부터 비대면 채용 전형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사진 제공 = 잡코리아
YTN digital 문지영 (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