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천 명을 넘어선 가운데 정부는 최대 2,500명까지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현재 의료체계로 안정적 대응이 가능한 위중증 환자 규모는 2,000명 정도지만, 병상 운영을 효율화하면 2,500명까지 감당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어제(8일) 0시 기준 중환자 전담치료 병상 가동률은 59.6%, 준중증 병상은 63.1%로 각각 40% 남짓 여유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같은 병상은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는 전제로 비어있더라도 고액의 비용을 정부가 내고 있고, 가용 여부를 계속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해당 의료기관에 인력이 부족하다면 중앙 차원에서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는 만큼 중환자 치료 대응은 큰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다만, 중환자실 가동률이 80%를 넘기는 일부 지역이 생길 수 있다며, 이런 경우 권역별 배정이나 준중환자실 운영을 효율화해 대응할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외에도 중환자실 입원에 우선순위를 두는 방안 등을 국가감염병임상위원회 분과 차원에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이형원 (lhw9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현재 의료체계로 안정적 대응이 가능한 위중증 환자 규모는 2,000명 정도지만, 병상 운영을 효율화하면 2,500명까지 감당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어제(8일) 0시 기준 중환자 전담치료 병상 가동률은 59.6%, 준중증 병상은 63.1%로 각각 40% 남짓 여유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같은 병상은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는 전제로 비어있더라도 고액의 비용을 정부가 내고 있고, 가용 여부를 계속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해당 의료기관에 인력이 부족하다면 중앙 차원에서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는 만큼 중환자 치료 대응은 큰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다만, 중환자실 가동률이 80%를 넘기는 일부 지역이 생길 수 있다며, 이런 경우 권역별 배정이나 준중환자실 운영을 효율화해 대응할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외에도 중환자실 입원에 우선순위를 두는 방안 등을 국가감염병임상위원회 분과 차원에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이형원 (lhw9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