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낙동강 물을 사용해 재배한 쌀에서 녹조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다량 검출됐다는 환경단체 조사 결과가 나왔는데요.
4대강 보 건설 이후 녹조 현상이 심해지면서 전 국민의 밥상도 위협받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김대겸 기자!
낙동강 하류 지역에서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다량 검출됐다는데, 먼저 조사 결과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네, 시민단체 환경운동연합이 어제 발표한 내용입니다.
낙동강 물을 사용해 기른 쌀 2종을 수집해 분석해본 결과 마이크로시스틴이란 독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내용입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녹조를 유발하는 남조류가 만들어 내는 독성 물질인데요.
인체에 들어가면 남성 정자 수를 감소시키거나 간 독성 등을 일으키는 해로운 물질입니다.
화면에 그림이 나올 텐데요.
성인이 하루 300g의 쌀을 먹는다고 가정했을 때 쌀 2종을 통해 섭취하게 되는 마이크로시스틴은 각각 0.954㎍과 0.759㎍으로 미국 정부의 일일 허용치보다 최대 8배, 프랑스 기준보다는 최대 15배 높았습니다.
[앵커]
쌀에서 독성 물질이 검출된 이유는 뭔가요?
[기자]
환경 단체는 이명박 정부 시절 세워진 4대강 보를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은 지난해 7월 대구 달성군 강정고령보 상류에서 촬영된 영상입니다.
끈적끈적해 보이는 녹조 떼가 강 표면을 뒤덮었고요.
낙동강 하류인 경남 창원의 한 농가에서는 녹조로 인해 논과 배수로가 온통 초록빛으로 물들었습니다.
환경 단체는 4대강 보로 인해 강물의 흐름이 정체되면서 녹조가 심해졌고, 이 물을 사용해 기른 농작물에서도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녹조 발생 시기도 많이 앞당겨졌다고 하는데요.
관련 인터뷰 내용 들어보시겠습니다.
[곽상수 / 대구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 : 강물 색 또한 날이 좋은 날은 예전과 사뭇 다르다고 봅니다. 그래서 원래 같은 경우는 10년 동안 저희가 나름 관찰한 바로는 4월 중순 되기 전에 벌써 녹조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환경단체는 마이크로시스틴이 300도 이상 고온에서도 잘 분해되지 않는 물질인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인체 축적이 우려된다며, 정부가 전면적인 실태 조사에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앵커]
쌀뿐만 아니라 배추와 무에서도 독성 물질이 검출된 적이 있다고요?
[기자]
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월에도 비슷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낙동강 중·하류 지역에서 재배된 무와 배추에서 100g당 각각 0.185㎍과 0.113㎍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된 건데요.
역시 프랑스와 미국에서 정한 일일 허용 기준치를 넘은 수치였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당시에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지만,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다시 기자회견에 나서게 된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와 지난 조사를 토대로 하루 식단에서의 총 섭취량을 계산해보면, 성인 1인당 최대 1.249㎍의 마이크로시스틴을 섭취하게 됩니다.
[앵커]
더 정확한 조사가 필요해 보이는데 정부는 어떤 입장인가요?
[기자]
정부도 농산물에서 독성 물질이 검출된 만큼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농업용수나 농산물의 독소 잔류 기준이나 분석 방법이 아직 마련돼있지 않습니다.
식약청이 올해 6월 안으로 이 분석법을 마련할 예정인데 이후 환경부와 농림부, 식약청 부처 간 협의를 거쳐 실태 조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환경단체는 실태 조사뿐 아니라 4대강 보 개방을 통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4대강 보 해체 반대와 4대강 재자연화 정책 폐기를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어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사회1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김대겸 (kimdk102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낙동강 물을 사용해 재배한 쌀에서 녹조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다량 검출됐다는 환경단체 조사 결과가 나왔는데요.
4대강 보 건설 이후 녹조 현상이 심해지면서 전 국민의 밥상도 위협받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김대겸 기자!
낙동강 하류 지역에서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다량 검출됐다는데, 먼저 조사 결과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네, 시민단체 환경운동연합이 어제 발표한 내용입니다.
낙동강 물을 사용해 기른 쌀 2종을 수집해 분석해본 결과 마이크로시스틴이란 독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내용입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녹조를 유발하는 남조류가 만들어 내는 독성 물질인데요.
인체에 들어가면 남성 정자 수를 감소시키거나 간 독성 등을 일으키는 해로운 물질입니다.
화면에 그림이 나올 텐데요.
성인이 하루 300g의 쌀을 먹는다고 가정했을 때 쌀 2종을 통해 섭취하게 되는 마이크로시스틴은 각각 0.954㎍과 0.759㎍으로 미국 정부의 일일 허용치보다 최대 8배, 프랑스 기준보다는 최대 15배 높았습니다.
[앵커]
쌀에서 독성 물질이 검출된 이유는 뭔가요?
[기자]
환경 단체는 이명박 정부 시절 세워진 4대강 보를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은 지난해 7월 대구 달성군 강정고령보 상류에서 촬영된 영상입니다.
끈적끈적해 보이는 녹조 떼가 강 표면을 뒤덮었고요.
낙동강 하류인 경남 창원의 한 농가에서는 녹조로 인해 논과 배수로가 온통 초록빛으로 물들었습니다.
환경 단체는 4대강 보로 인해 강물의 흐름이 정체되면서 녹조가 심해졌고, 이 물을 사용해 기른 농작물에서도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녹조 발생 시기도 많이 앞당겨졌다고 하는데요.
관련 인터뷰 내용 들어보시겠습니다.
[곽상수 / 대구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 : 강물 색 또한 날이 좋은 날은 예전과 사뭇 다르다고 봅니다. 그래서 원래 같은 경우는 10년 동안 저희가 나름 관찰한 바로는 4월 중순 되기 전에 벌써 녹조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환경단체는 마이크로시스틴이 300도 이상 고온에서도 잘 분해되지 않는 물질인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인체 축적이 우려된다며, 정부가 전면적인 실태 조사에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앵커]
쌀뿐만 아니라 배추와 무에서도 독성 물질이 검출된 적이 있다고요?
[기자]
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월에도 비슷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낙동강 중·하류 지역에서 재배된 무와 배추에서 100g당 각각 0.185㎍과 0.113㎍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된 건데요.
역시 프랑스와 미국에서 정한 일일 허용 기준치를 넘은 수치였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당시에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지만,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다시 기자회견에 나서게 된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와 지난 조사를 토대로 하루 식단에서의 총 섭취량을 계산해보면, 성인 1인당 최대 1.249㎍의 마이크로시스틴을 섭취하게 됩니다.
[앵커]
더 정확한 조사가 필요해 보이는데 정부는 어떤 입장인가요?
[기자]
정부도 농산물에서 독성 물질이 검출된 만큼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농업용수나 농산물의 독소 잔류 기준이나 분석 방법이 아직 마련돼있지 않습니다.
식약청이 올해 6월 안으로 이 분석법을 마련할 예정인데 이후 환경부와 농림부, 식약청 부처 간 협의를 거쳐 실태 조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환경단체는 실태 조사뿐 아니라 4대강 보 개방을 통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4대강 보 해체 반대와 4대강 재자연화 정책 폐기를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어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사회1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김대겸 (kimdk102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