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순호 사라지고 조직도는 채워지고"...노동계 사퇴 요구

단독 "김순호 사라지고 조직도는 채워지고"...노동계 사퇴 요구

2022.08.25. 오후 2:3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밀고 특채' 의혹이 제기된 김순호 행정안전부 초대 경찰국장은 1980년대 자신이 몸담고 있던 노동단체 회원 명단을 치안본부에 넘겼다는 의혹을 받아왔는데요.

과거 김 국장이 잠적한 시기와 치안본부가 회원 명단을 확보한 시기가 겹치는 정황이 담긴 수사자료를 YTN 취재진이 추가로 확인했습니다.

노동계는 김순호 국장 사퇴를 요구하는 연대기구를 마련하겠다며 총력 대응을 선언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준엽 기자!

과거 김순호 국장이 몸담았던 노동단체 회원 명단을 치안본부가 언제 파악했는지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자료가 나왔다고요?

[기자]
네, YTN 취재진이 김순호 행정안전부 초대 경찰국장이 몸담았던 인천·부천 민주노동자회에 대한 치안본부 수사 기록을 추가로 확인했는데요.

김 국장이 잠적하기 전 빈칸이던 조직도가 잠적 후에 모두 채워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YTN 취재진은 김 국장이 잠적했다고 밝힌 1989년 4월 전후로 치안본부에 연행된 인노회원 수사기록을 입수해 분석해봤습니다.

먼저 1989년 4월 1일 연행된 회원 기록에서 인노회 조직도를 발견했는데요.

이 기록엔 앞서 연행된 회원들이 속해 있는 분회나 사무국만 명단이 작성돼 있었고, 김 국장이 책임자였던 부천지구는 전혀 명단이 파악되지 않은 '빈칸'이었습니다.

하지만 같은 달 28일에 연행된 인노회원 수사기록을 보면 빈칸이던 부천지구 조직도가 모두 채워져 있습니다.

이전에 부천지구 연행자가 없었는데도 유독 부천지구만 모든 분회 명단이 상세히 쓰여 있었는데요.

결국, 1989년 4월에 치안본부가 부천지구 조직도를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겁니다.

김 국장이 잠적한 시기와 치안본부가 명단을 확보한 시기가 겹치는 건데요.

인노회원들은 당시 부천지구위원장으로서 온전한 분회 명단을 가진 유일한 사람이 김 국장이었다고도 말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김 국장 잠적 시기를 뒷받침하는 수사기록 진술서도 확인됐습니다.

1989년 3월 말 열린 인노회 비상 상임 집행위원회에는 김 국장의 가명 '김봉진'이 참석했지만, 4월 초부터는 출석하지 않은 것으로 돼 있습니다.

[앵커]
밀고 의혹에 대한 정황 증거가 또 나온 건데 김 국장 본인은 뭐라고 해명하나요?

[기자]
YTN 취재진은 확보한 수사기록에 대해서 김 국장의 해명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했는데요.

답변을 듣지 못했습니다.

김 국장은 앞서 YTN과의 인터뷰에서 본인이 잠적한 것은 89년 4월이지만, 서울 홍제동 대공분실에 찾아가 자백한 건 인노회 수사가 거의 마무리된 7월이었고, 사건에 영향을 끼칠 만한 진술은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는데요.

YTN 취재진은 과거 김순호 국장의 자백을 들은 뒤 대공 특채를 제안한 거로 알려진 홍승상 전 경감 가족을 만났습니다.

가족은 홍 씨가 김 국장을 만난 정확한 시점은 기억할 수 없는 상태라면서도 인노회 사건 당시 김 국장에게 '증거물 분석'을 시킨 건 맞는다고 인정했다고 전했습니다.

김 국장이 인노회원 간부였는데도 어떻게 처벌받지 않았는지에 대해선 반성하고 자수한 젊은 친구를 구속해서 이력에 굳이 빨간 줄이 가도록 해야 하느냐면서, 김 국장뿐 아니라 다른 사람도 많이 그렇게 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습니다.

[앵커]
의혹이 끊이지 않는 모양새인데, 노동계에서도 대응에 나섰다고요?

[기자]
네 민주노총은 오늘(25일) 기자회견을 열고 김순호 국장 해임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김 국장과 관련한 의혹은 개인의 양심 문제가 아니라 노동운동을 불온시하는 정치·사회적 환경과 맞닿아 있다고 지적했는데요.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엄미경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사회연대위원장 : 김순호 국장의 해임은 무엇보다 노동운동을 불온시해온 역사를 올바로 바로잡는 길이다.]

민주노총은 특히 인노회를 이적단체로 규정하는 김 국장의 태도를 집중비판 했습니다.

그러면서 인노회 피해자와 인권·사회·종교단체가 함께 연대기구를 구성해 대응하겠다는 계획도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사회1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