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호준석 앵커, 김선영 앵커
■ 출연 :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뉴스LIVE]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중국이 걱정입니다. 중국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고 우리 바로 옆이기도 하고. 그런데 혀가 검게 변한다든지 피부가 벗겨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는 얘기들도 있고요. 이것도 코로나 변이입니까, 어떻게 되는 겁니까?
[김경우]
코로나 변이에 의한 증상이라기보다는 흔하게 나타나지 않는,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해석할 수가 있겠습니다. 기존 코로나 감염에 대해서 사람마다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흔한 것은 발열이 나고 기침 나고 이런 거지만 드물게는 혀에서 상피세포가 과하게 자라면서 거기가 세균 감염이나 이런 것이 생기면서 검게 변한다든지 피부에 헤르페스처럼 수포가 생겨서 피부질환이 생긴다든지 이렇게 드문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단은 코로나에 가볍게 걸려서 지나가면 제일 좋지만 어떻게 걸리실지 모르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선택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한 선택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앵커]
중국 얘기 하나 더 해보면 사실 규제를 일찍 더 많이 푼 나라도 많은데 중국이 이렇게 뒤늦게 급증하면서 사망자도 많아지는 가장 큰 이유가 어떤 거라고 생각하세요?
[김경우]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일단 백신 접종도 한 가지 효과가 될 것 같고요. 효과가 좋은 백신들, 초기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었겠지만 계속 변이를 거듭하면서 거기에 대한 우리가 철저한 제로 코로나 정책은 괜찮았지만 완화를 대비해서 접종을 적극적으로 대비를 했었어야 했는데 의료대응시설도 굉장히 부족한 부분이 있고.
이것은 우리가 과거에 봤던 현상의 반복 현상이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 충분히 대비를 못 한 부분이 있지 않았나 싶고요. 오미크론이 대부분 유행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도 조금 더 일찍 적극적으로 개량백신 접종을 도입했으면 하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뉴스LIVE]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중국이 걱정입니다. 중국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고 우리 바로 옆이기도 하고. 그런데 혀가 검게 변한다든지 피부가 벗겨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는 얘기들도 있고요. 이것도 코로나 변이입니까, 어떻게 되는 겁니까?
[김경우]
코로나 변이에 의한 증상이라기보다는 흔하게 나타나지 않는,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해석할 수가 있겠습니다. 기존 코로나 감염에 대해서 사람마다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흔한 것은 발열이 나고 기침 나고 이런 거지만 드물게는 혀에서 상피세포가 과하게 자라면서 거기가 세균 감염이나 이런 것이 생기면서 검게 변한다든지 피부에 헤르페스처럼 수포가 생겨서 피부질환이 생긴다든지 이렇게 드문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단은 코로나에 가볍게 걸려서 지나가면 제일 좋지만 어떻게 걸리실지 모르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선택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한 선택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앵커]
중국 얘기 하나 더 해보면 사실 규제를 일찍 더 많이 푼 나라도 많은데 중국이 이렇게 뒤늦게 급증하면서 사망자도 많아지는 가장 큰 이유가 어떤 거라고 생각하세요?
[김경우]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일단 백신 접종도 한 가지 효과가 될 것 같고요. 효과가 좋은 백신들, 초기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었겠지만 계속 변이를 거듭하면서 거기에 대한 우리가 철저한 제로 코로나 정책은 괜찮았지만 완화를 대비해서 접종을 적극적으로 대비를 했었어야 했는데 의료대응시설도 굉장히 부족한 부분이 있고.
이것은 우리가 과거에 봤던 현상의 반복 현상이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 충분히 대비를 못 한 부분이 있지 않았나 싶고요. 오미크론이 대부분 유행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도 조금 더 일찍 적극적으로 개량백신 접종을 도입했으면 하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