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합계 출산율이 높은 지역에서도 인구 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인수 부연구위원은 통계청이 발간한 '통계플러스 봄호'에서 지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시군구 단위 평균 합계출산율이 상위 25% 이내인 지역 가운데 인구 규모가 감소한 곳이 36곳이었다고 집계했습니다.
장인수 위원은 "합계출산율이 높아도 사망자 수가 많아서 결과적으로 인구가 증가하지 못한 것"이라며 "그만큼 인구 고령화가 심화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상대적으로 15∼49세 여성 인구 수가 적은 지역은 다른 지역과 출생아 수가 동일하더라도 출산율이 높게 나타난다며 "출산율만으로는 지역 인구 동태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진단했습니다.
고령화 영향으로 생애 주기 중 노동 기간도 점점 더 길어지면서, 통계청의 1인당 생애 주기 적자 그래프를 보면 고령층의 노동소득 적자 구간 재진입 연령이 지난 2010년 56세에서 2020년 61세로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이 기간 흑자 구간 진입 연령은 27∼28세로 큰 변동이 없었습니다.
이는 과거보다 건강 수준이 양호한 고령층이 노동시장에 오랜 기간 머물며 노동을 이어간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연령당 생애주기 적자 그래프는 노동소득 없이 소비가 이뤄지는 유년기의 1차 적자 구간과 노동소득이 발생하면서 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흑자 구간, 다시 노동소득이 점차 줄면서 정부의 사회보장제도 등을 통해 소비가 이뤄지는 노년기의 2차 적자 구간으로 나뉩니다.
또 2000∼2021년 청년 취업자의 수도권 분포 비중은 50.8%에서 56.4%로 5.6%포인트 올라가고 비수도권의 청년 취업자 비중은 43.6%로 내려가, 청년 인구의 수도권 집중도는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TN 기정훈 (pro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인수 부연구위원은 통계청이 발간한 '통계플러스 봄호'에서 지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시군구 단위 평균 합계출산율이 상위 25% 이내인 지역 가운데 인구 규모가 감소한 곳이 36곳이었다고 집계했습니다.
장인수 위원은 "합계출산율이 높아도 사망자 수가 많아서 결과적으로 인구가 증가하지 못한 것"이라며 "그만큼 인구 고령화가 심화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상대적으로 15∼49세 여성 인구 수가 적은 지역은 다른 지역과 출생아 수가 동일하더라도 출산율이 높게 나타난다며 "출산율만으로는 지역 인구 동태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진단했습니다.
고령화 영향으로 생애 주기 중 노동 기간도 점점 더 길어지면서, 통계청의 1인당 생애 주기 적자 그래프를 보면 고령층의 노동소득 적자 구간 재진입 연령이 지난 2010년 56세에서 2020년 61세로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이 기간 흑자 구간 진입 연령은 27∼28세로 큰 변동이 없었습니다.
이는 과거보다 건강 수준이 양호한 고령층이 노동시장에 오랜 기간 머물며 노동을 이어간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연령당 생애주기 적자 그래프는 노동소득 없이 소비가 이뤄지는 유년기의 1차 적자 구간과 노동소득이 발생하면서 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흑자 구간, 다시 노동소득이 점차 줄면서 정부의 사회보장제도 등을 통해 소비가 이뤄지는 노년기의 2차 적자 구간으로 나뉩니다.
또 2000∼2021년 청년 취업자의 수도권 분포 비중은 50.8%에서 56.4%로 5.6%포인트 올라가고 비수도권의 청년 취업자 비중은 43.6%로 내려가, 청년 인구의 수도권 집중도는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TN 기정훈 (pro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