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에 치인 70대, 병원 11곳 수용 거부로 숨져
대구에서도 10대 여학생 응급실 전전하다 사망
중앙응급상황실 1곳, 전국의 병원 간 전원 지휘
"지역별 응급의료상황실 설치…환자 수용 의무화"
대구에서도 10대 여학생 응급실 전전하다 사망
중앙응급상황실 1곳, 전국의 병원 간 전원 지휘
"지역별 응급의료상황실 설치…환자 수용 의무화"
AD
[앵커]
이송할 병원을 찾지 못해 환자가 숨지는 일이 반복되며 정부가 여러 대책을 내놨지만, 의료계는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수술할 의사가 없어 병원 문턱을 못 넘는 일이 없도록 분산된 필수 의료인력을 한 곳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황보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30일, 경기도 용인에서 후진하던 차량에 치인 70대 남성.
구급대가 도착했을 때는 의식이 있었지만, 열 군데 넘는 병원에서 수용을 거부당한 끝에 구급차에서 숨을 거뒀습니다.
대구에서 응급 상황에 놓인 10대 여학생이 입원할 병원을 못 찾고 숨진 지 불과 두 달여 만입니다.
지금은 중앙 응급의료상황실 한 곳이 전국에 있는 중증 응급환자의 병원 간 전원을 지휘합니다.
정부와 여당은 이런 방식으론, 병원에서 수용할 수 없는 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신속히 이동시키는 게 어렵다고 보고, 지역별로 응급의료상황실을 설치하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또, 여기서 환자 이송을 지정받은 병원은 의무적으로 환자를 받게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의료계에선 과거 비슷한 기능을 하던 응급의료정보센터(1339)를 119에 합쳐 놓고 다시 분리하는 격이라며, 새 체계가 정착하는 데만 몇 년이 걸릴 거라고 비판합니다.
환자 수용을 의무화하겠다는 발상도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수술할 의사가 없는데도 무턱대고 환자를 맡았다간 오히려 환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겁니다.
여러 부위를 다친 응급환자는 병원에 내과와 외과 전문의 등이 모두 있어야 수술할 수 있는 만큼, 필수 의료인력을 한 기관에 모으는 게 우선이라는 지적입니다.
[박시은 / 전국 응급구조학과 교수협의회 회장 : 중증외상환자를 치료하려면 여러 분야의 전문의가 필요한데, 지금은 의사들이 너무 분산돼있어요. 병원 수를 대폭 늘리는 것보다, 병원 한 곳에 필수 의료과목 의사들을 집중하는 게 낫습니다.]
경증 환자가 응급실을 이용할 경우 병원비 전액을 본인이 부담하게 하는 등 응급실 과밀화를 제도적으로 막을 방안도 거론됩니다.
[유인술 / 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일본에서는 경증 환자들이 상급 응급의료기관에 가면 보험 적용이 안 돼서 정말 위급한 환자들만 갑니다. 경증 환자들이 종합병원 응급실에 쏠리지 않게끔 제도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건복지부는 응급의료기관에 지원하는 전문의에겐 충분한 보상을 제공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환자 이송 지침도 만들 방침인데,
결국, 인력과 시설에 대한 과감한 투자 없이는 '응급실 뺑뺑이 사망'은 언제든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YTN 황보혜경입니다.
YTN 황보혜경 (bohk1013@ytn.co.kr)
영상편집: 안윤선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송할 병원을 찾지 못해 환자가 숨지는 일이 반복되며 정부가 여러 대책을 내놨지만, 의료계는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수술할 의사가 없어 병원 문턱을 못 넘는 일이 없도록 분산된 필수 의료인력을 한 곳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황보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30일, 경기도 용인에서 후진하던 차량에 치인 70대 남성.
구급대가 도착했을 때는 의식이 있었지만, 열 군데 넘는 병원에서 수용을 거부당한 끝에 구급차에서 숨을 거뒀습니다.
대구에서 응급 상황에 놓인 10대 여학생이 입원할 병원을 못 찾고 숨진 지 불과 두 달여 만입니다.
지금은 중앙 응급의료상황실 한 곳이 전국에 있는 중증 응급환자의 병원 간 전원을 지휘합니다.
정부와 여당은 이런 방식으론, 병원에서 수용할 수 없는 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신속히 이동시키는 게 어렵다고 보고, 지역별로 응급의료상황실을 설치하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또, 여기서 환자 이송을 지정받은 병원은 의무적으로 환자를 받게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의료계에선 과거 비슷한 기능을 하던 응급의료정보센터(1339)를 119에 합쳐 놓고 다시 분리하는 격이라며, 새 체계가 정착하는 데만 몇 년이 걸릴 거라고 비판합니다.
환자 수용을 의무화하겠다는 발상도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수술할 의사가 없는데도 무턱대고 환자를 맡았다간 오히려 환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겁니다.
여러 부위를 다친 응급환자는 병원에 내과와 외과 전문의 등이 모두 있어야 수술할 수 있는 만큼, 필수 의료인력을 한 기관에 모으는 게 우선이라는 지적입니다.
[박시은 / 전국 응급구조학과 교수협의회 회장 : 중증외상환자를 치료하려면 여러 분야의 전문의가 필요한데, 지금은 의사들이 너무 분산돼있어요. 병원 수를 대폭 늘리는 것보다, 병원 한 곳에 필수 의료과목 의사들을 집중하는 게 낫습니다.]
경증 환자가 응급실을 이용할 경우 병원비 전액을 본인이 부담하게 하는 등 응급실 과밀화를 제도적으로 막을 방안도 거론됩니다.
[유인술 / 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일본에서는 경증 환자들이 상급 응급의료기관에 가면 보험 적용이 안 돼서 정말 위급한 환자들만 갑니다. 경증 환자들이 종합병원 응급실에 쏠리지 않게끔 제도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건복지부는 응급의료기관에 지원하는 전문의에겐 충분한 보상을 제공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환자 이송 지침도 만들 방침인데,
결국, 인력과 시설에 대한 과감한 투자 없이는 '응급실 뺑뺑이 사망'은 언제든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YTN 황보혜경입니다.
YTN 황보혜경 (bohk1013@ytn.co.kr)
영상편집: 안윤선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