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 상대 '447억' 손해배상 소송...받아낼 수 있나?

정부, 북한 상대 '447억' 손해배상 소송...받아낼 수 있나?

2023.06.18. 오전 06:2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정부, 북한 상대로 첫 손해배상 소송 제기
소송 기대 없지만…"시효 전에 법적 책임 물어야"
소송 이겨도 배상금 받아낼 방법 마땅치 않아
’경문협’ 상대 배상금 청구 소송도 잇따라 패소
AD
[앵커]
정부가 3년 전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을 폭파한 북한에 4백억 원대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북한을 상대로 소송을 낸 건 이번이 처음인데, 실제 배상으로 이어지기까지는 난관이 예상됩니다.

홍민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조선중앙TV(2020년 6월 17일) : 개성공업지구에 있던 북남공동연락사무소를 완전 파괴시키는 조치를 실행했습니다.]

2020년 자행된 고강도 도발 3년 만에, 정부는 한국전쟁 이후 처음으로 북한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에 나섰습니다.

북한에 물어내라고 요구한 건 무너져내린 남북연락사무소와 종합지원센터를 합쳐 모두 447억 원.

피고인 북한이 우리 법정에 나오지 않는 궐석재판이 될 것을 알지만,

지금 소송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영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어,

불법행위 당사자인 북한이 져야 할 법률적 책임을 면제해주는 꼴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병삼 / 통일부 대변인(지난 14일) : 북한이 폭력적인 방식으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것은 법률적으로 명백히 불법 행위이고….]

다만, 손해가 인정되더라도 북한에서 받아낼 방법은 마땅치 않습니다.

국내에 있는 북한 자산을 압류하는 게 그나마 현실적이지만,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이 북한 영상물과 음악 저작권료로 우리 법원에 공탁한 20억여 원이 사실상 유일합니다.

하지만 대북 손배소송에서 승소한 국군포로들도 경문협에 대신 배상금을 달라고 낸 소송에선 잇달아 패소했습니다.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지난 15일 YTN '뉴스Q') : 관리를 할 수 있는 이런 북한의 동산, 부동산, 채권이 있어야 하잖아요. 지금 현재 법적으로 규정된, 우리가 가압류하고 있는 북한의 채권, 동산, 부동산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앞서 미국 법원은 북한에 억류됐다 숨진 오토 웜비어 유족에게 북한이 5억 달러 넘게 배상해야 한다고, 2018년 판결했습니다.

이를 근거로 웜비어의 부모는 전 세계에 숨겨진 해외 북한 자산 몰수를 위한 지난한 싸움을,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의 이번 소송이 험난한 가시밭길이 될 것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YTN 홍민기입니다.

영상편집: 고창영
그래픽: 이지희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