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어제 강원도 정선에서 참변이 있었습니다.
내리막길을 달리던 16톤 화물차가 도로 옆에 있던 건물을 그대로 들이받았습니다.
정선군청 소속 교통 통제 직원들이 사무실과 휴식공간으로 사용하던 건물이었습니다.
트럭이 밀고 지나간 자리에는 뿌연 연기만 자욱했고, 건물은 순식간에 사라졌습니다.
20,30대 젊은 직원 2명이 목숨을 잃었고, 1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화물차 운전자는 브레이크가 말을 듣지 않았다고 진술했습니다.
사실이라면 내리막길에 엄청난 가속도가 붙었을 겁니다.
경찰이 운전자와 목격자를 상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강원도 정선군에 있는 내리막길 도로.
거대한 화물차가 도로 옆 건물을 들이받습니다.
전혀 속도가 줄지 않은 모습,
희뿌연 먼지가 걷히자 건물이 아예 CCTV 화면에서 사라졌습니다.
사고가 난 건 오전 11시쯤
석회가루를 운반하던 16톤 화물차량이 도로 옆 조립식 건물을 들이받은 후 인근 하천으로 떨어졌습니다.
사고 당시 건물 안에는 3명이 있었는데 28살 고 모 씨가 숨졌고, 39살 김 모 씨가 골반 등을 크게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또 사고 이후 하천으로 떨어지며 실종됐던 38살 나 모 씨 역시 2시간 만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숨지거나 다친 3명 모두 정선군청 교통관리사업소 소속 직원들로 확인됐습니다.
[정선군청 관계자 : 저희 주정차 단속하는 직원들입니다. 사고 났던 컨테이너는 아마 그분들이 계속 밖에 있는 외근이니까 잠깐잠깐 휴식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을 사무실에서 마련해준 것 같거든요.]
화물차 운전자 63살 윤 모 씨는 크게 다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지난해 한 고등학생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극단적인 선택이었습니다.
자식을 잃은 것만으로도 부모는 세상이 무너졌을 텐데, 아들이 떠난 뒤에야 또 다른 청천벽력같은 소식을 듣게 됐습니다.
바로 아들이 마지막 순간까지 학교 폭력으로 괴로워했다는 사실입니다.
아들의 친구는 손편지를 남겼습니다.
'넌 용서했을지 몰라도 난 걔네를 용서 못 해.'
학교 폭력으로 속마음까지 터놓던 친구를 잃었으니, 그 분노와 화가 얼마나 컸겠습니까.
부모만큼이나 큰 상실감이었을 겁니다.
경찰의 조사 결과, 학교폭력은 사실이었습니다.
가해 학생 7명을 검찰로 넘겼죠.
경찰은 학교와 교육청을 상대로도 압수수색을 이어갔습니다.
학교 폭력을 다루는 과정에서 관계자들이 사건을 축소하고 은폐했다는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입니다.
우종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고등학교 2학년생이었던 오 모 군이 자택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습니다.
부모는 오 군을 떠나보낸 뒤에야 아들이 마지막 날까지 학교 폭력으로 괴로워했다는 걸 알았습니다.
오 군의 친구가 봉안당에 남기고 간 손편지에 가해 학생을 용서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겼기 때문입니다.
유족의 요청으로 지난 2월 교육지원청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를 열었고,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학교폭력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유족은 가해 학생들을 상대로 고소도 진행했는데, 경찰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오 군을 때리고 조용히 살라고 하는 등 위력을 행사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동급생 4명은 공동폭행, 3명은 공동강요 혐의로 지난달 검찰에 넘긴 겁니다.
경찰은 또, 교사가 가해 학생의 규모를 줄이고 피해자에게 유리한 일부 진술은 빠트려 교육지원청에 알렸다는 유족의 주장을 토대로 사건 축소나 은폐 의혹도 수사하고 있습니다.
[이지헌 / 유족 측 변호사 : (학교가) 조사를 충분히 해서 자료를 전부 제대로 교육청에 제공한 것이냐. 아니면 그 과정에서 일부 자료를 누락시킨다든지 왜곡을 해서 제공을 한 것이냐는 데 대해서 의혹이 있어서 추가로 고소를 하게 된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당시 담당자가 사건을 축소·은폐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고, 학교 측은 취재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앵커]
대구의 한 공사장에서는 또 한 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구조물이 무너지면서 속절없이 깔린 겁니다.
4톤이 넘는 자재를 고작 각목 몇 개로 받치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허술하니 안 무너지고 어떻게 버티겠습니까.
이곳은 소규모 공사장이어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도 유예되는 곳입니다.
규모가 작으니까 안전관리에 소홀하기 쉽고, 비용 절감에 대한 유혹에도 쉽게 내몰리겠죠.
사실상 가장 취약한 현장이 규제 사각지대에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구 달성군 구지면에 있는 상가 건설 현장입니다.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지난달 27일.
이곳에서 대형 합판 자재가 무너지면서 60대 근로자 A 씨가 깔려 숨졌습니다.
[A 씨 유가족 : 현장에 갔다 왔어요. 그 다음 날에. 걸어가다가도 넘어질 것 같더라고. 그만큼 위험하다, 그렇게 위험한 줄 몰랐어요.]
[동료 작업자 : 그렇게 (자재를) 받는 현장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지금까지 일을 한 30년 해도. 전부 인재입니다, 인재 사고. 너무 안일한 생각에….]
이번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을 내년 1월까지 유예하는 공사비 50억 원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어났습니다.
A 씨처럼 소규모 사업장에서 산업재해로 숨진 근로자는 올해만 262명으로 전체 산재 사망자의 절반이 넘습니다.
[안형준 / 전 건국대 건축대학 학장 : 중대재해를 막을 수 있는 안전관리 책임자가, 제대로 된 책임자가 소규모 사업장에는 있을 수가 없고, 또 그에 대한 교육 시설이나 시스템 이런 것들이 모두 부족하죠.]
가장 위험한 사업장을 정작 안전 사각지대에 뒀다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 건설사에 대한 안전 분야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YTN 안보라 (anbor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어제 강원도 정선에서 참변이 있었습니다.
내리막길을 달리던 16톤 화물차가 도로 옆에 있던 건물을 그대로 들이받았습니다.
정선군청 소속 교통 통제 직원들이 사무실과 휴식공간으로 사용하던 건물이었습니다.
트럭이 밀고 지나간 자리에는 뿌연 연기만 자욱했고, 건물은 순식간에 사라졌습니다.
20,30대 젊은 직원 2명이 목숨을 잃었고, 1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화물차 운전자는 브레이크가 말을 듣지 않았다고 진술했습니다.
사실이라면 내리막길에 엄청난 가속도가 붙었을 겁니다.
경찰이 운전자와 목격자를 상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강원도 정선군에 있는 내리막길 도로.
거대한 화물차가 도로 옆 건물을 들이받습니다.
전혀 속도가 줄지 않은 모습,
희뿌연 먼지가 걷히자 건물이 아예 CCTV 화면에서 사라졌습니다.
사고가 난 건 오전 11시쯤
석회가루를 운반하던 16톤 화물차량이 도로 옆 조립식 건물을 들이받은 후 인근 하천으로 떨어졌습니다.
사고 당시 건물 안에는 3명이 있었는데 28살 고 모 씨가 숨졌고, 39살 김 모 씨가 골반 등을 크게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또 사고 이후 하천으로 떨어지며 실종됐던 38살 나 모 씨 역시 2시간 만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숨지거나 다친 3명 모두 정선군청 교통관리사업소 소속 직원들로 확인됐습니다.
[정선군청 관계자 : 저희 주정차 단속하는 직원들입니다. 사고 났던 컨테이너는 아마 그분들이 계속 밖에 있는 외근이니까 잠깐잠깐 휴식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을 사무실에서 마련해준 것 같거든요.]
화물차 운전자 63살 윤 모 씨는 크게 다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지난해 한 고등학생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극단적인 선택이었습니다.
자식을 잃은 것만으로도 부모는 세상이 무너졌을 텐데, 아들이 떠난 뒤에야 또 다른 청천벽력같은 소식을 듣게 됐습니다.
바로 아들이 마지막 순간까지 학교 폭력으로 괴로워했다는 사실입니다.
아들의 친구는 손편지를 남겼습니다.
'넌 용서했을지 몰라도 난 걔네를 용서 못 해.'
학교 폭력으로 속마음까지 터놓던 친구를 잃었으니, 그 분노와 화가 얼마나 컸겠습니까.
부모만큼이나 큰 상실감이었을 겁니다.
경찰의 조사 결과, 학교폭력은 사실이었습니다.
가해 학생 7명을 검찰로 넘겼죠.
경찰은 학교와 교육청을 상대로도 압수수색을 이어갔습니다.
학교 폭력을 다루는 과정에서 관계자들이 사건을 축소하고 은폐했다는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입니다.
우종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고등학교 2학년생이었던 오 모 군이 자택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습니다.
부모는 오 군을 떠나보낸 뒤에야 아들이 마지막 날까지 학교 폭력으로 괴로워했다는 걸 알았습니다.
오 군의 친구가 봉안당에 남기고 간 손편지에 가해 학생을 용서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겼기 때문입니다.
유족의 요청으로 지난 2월 교육지원청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를 열었고,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학교폭력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유족은 가해 학생들을 상대로 고소도 진행했는데, 경찰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오 군을 때리고 조용히 살라고 하는 등 위력을 행사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동급생 4명은 공동폭행, 3명은 공동강요 혐의로 지난달 검찰에 넘긴 겁니다.
경찰은 또, 교사가 가해 학생의 규모를 줄이고 피해자에게 유리한 일부 진술은 빠트려 교육지원청에 알렸다는 유족의 주장을 토대로 사건 축소나 은폐 의혹도 수사하고 있습니다.
[이지헌 / 유족 측 변호사 : (학교가) 조사를 충분히 해서 자료를 전부 제대로 교육청에 제공한 것이냐. 아니면 그 과정에서 일부 자료를 누락시킨다든지 왜곡을 해서 제공을 한 것이냐는 데 대해서 의혹이 있어서 추가로 고소를 하게 된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당시 담당자가 사건을 축소·은폐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고, 학교 측은 취재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앵커]
대구의 한 공사장에서는 또 한 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구조물이 무너지면서 속절없이 깔린 겁니다.
4톤이 넘는 자재를 고작 각목 몇 개로 받치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허술하니 안 무너지고 어떻게 버티겠습니까.
이곳은 소규모 공사장이어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도 유예되는 곳입니다.
규모가 작으니까 안전관리에 소홀하기 쉽고, 비용 절감에 대한 유혹에도 쉽게 내몰리겠죠.
사실상 가장 취약한 현장이 규제 사각지대에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구 달성군 구지면에 있는 상가 건설 현장입니다.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지난달 27일.
이곳에서 대형 합판 자재가 무너지면서 60대 근로자 A 씨가 깔려 숨졌습니다.
[A 씨 유가족 : 현장에 갔다 왔어요. 그 다음 날에. 걸어가다가도 넘어질 것 같더라고. 그만큼 위험하다, 그렇게 위험한 줄 몰랐어요.]
[동료 작업자 : 그렇게 (자재를) 받는 현장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지금까지 일을 한 30년 해도. 전부 인재입니다, 인재 사고. 너무 안일한 생각에….]
이번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을 내년 1월까지 유예하는 공사비 50억 원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어났습니다.
A 씨처럼 소규모 사업장에서 산업재해로 숨진 근로자는 올해만 262명으로 전체 산재 사망자의 절반이 넘습니다.
[안형준 / 전 건국대 건축대학 학장 : 중대재해를 막을 수 있는 안전관리 책임자가, 제대로 된 책임자가 소규모 사업장에는 있을 수가 없고, 또 그에 대한 교육 시설이나 시스템 이런 것들이 모두 부족하죠.]
가장 위험한 사업장을 정작 안전 사각지대에 뒀다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 건설사에 대한 안전 분야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YTN 안보라 (anbor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