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울' 이재명 이송 두고 갑론을박...주요 쟁점은?

'부산→서울' 이재명 이송 두고 갑론을박...주요 쟁점은?

2024.01.06. 오후 5:5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위급 상황 환자 의사 중시…일방 비난 어려워"
"119 헬기, 의료진 요청 따라 태울 수 있어" 반론
"전원 요청해와"…부산대병원 "사실 아냐" 반박
소방 ’1cm 열상·경상’…집도의 "위급했던 자상"
AD
[앵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흉기 피습을 당한 이후 부산에서 서울로 병원을 옮긴 것을 두고 갑론을박이 끊이지 않습니다.

의료계조차 의견이 갈리는데, 이 대표가 이송된 이유부터 과정까지 주요 쟁점을 짚어봤습니다.

조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일, 예기치 못한 공격을 당한 이재명 대표는 헬기로 부산대병원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이를 두고 중증 외상 환자를 전담하는 권역외상센터를 갖춘 부산대병원에서 센터가 없는 서울로 향한 게 상식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일었습니다.

이른바 '지역 의료 홀대' 논란으로 확대된 건데, 서울대병원은 공개 브리핑 첫머리부터 반박했습니다.

[민승기 / 집도의(서울대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 : 중증외상 전문가들로 구성된 외상외과 세부분과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증외상센터에서 많은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고요, 서울대병원에 외상센터가 없다는 말은 사실이 아닙니다.]

119구급 헬기에 이 대표를 태운 것을 두고는 지역 의사회 문제 제기가 잇따랐습니다.

부산시의사회에 이어 광주시의사회는 전형적인 특권의식에 몰입된 행동이자 내로남불이라고 주장했고,

경남도의사회는 의료용 헬기는 의사 쇼핑을 편하게 하라고 만든 것이 아니라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의전서열을 차치하더라도 흉기 피습이란 위급 상황에서 이 대표와 가족 의사를 중시한 걸 일방적으로 비난하긴 어렵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또, 119 헬기는 의료진 요청에 따라 환자를 태울 수 있어 규정 위반으로 볼 수 없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부산대병원이 먼저 전원 요청을 했다는 서울대병원의 설명은 또 다른 쟁점을 만들었습니다.

부산대병원은 즉각 이 대표 측 가족 요청에 따라 확인한 것일 뿐이라며 사실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다만, "어려운 수술로, 경험 많은 의사가 필요했다"는 서울대병원의 원론적 입장이 지역 의료계를 자극했다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민승기 / 집도의(서울대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 : 그 수술의 성공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태이고요, 따라서 경험 많은 혈관외과 의사의 수술이 꼭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부산대병원의 전원 요청을 받아들였고….]

사건 초기 소방당국이 이 대표 상태를 '1cm 열상으로 경상'이라 추정하면서,

수술 집도의가 '위급했던 자상'으로 바로잡기 전까지,

나무젓가락에 찔린 거란 낭설이 부풀려지는 등 초반 혼선도 논란을 더했습니다.

YTN 조용성입니다.


YTN 조용성 (choys@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