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인데 벌써?"... 지구온난화, 모기 활동 시계 앞당겨 [앵커리포트]

"4월인데 벌써?"... 지구온난화, 모기 활동 시계 앞당겨 [앵커리포트]

2024.04.15. 오후 2:5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오늘처럼 기온이 높고 비가 오는 날씨.

모기가 가장 좋아하는 고온다습한 환경이죠.

'이제 겨우 4월인데 벌써?'라고 생각하고 계시죠.

네, 벌써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관내 51곳에서 이처럼 디지털모기측정기를 통해 모기 채집을 실시하고 있는데요,

4월 첫 주 DMS에 채집된 모기 수는 각각 이렇습니다. 1-2백 마리 정도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사실 이 DMS의 가동 시기도 점차 앞당겨지고 있는데요,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5월1일에 모기 채집을 시작했는데, 지난해에는 4월 15일부터 시작했고요 올해는 4월 1일로 빨라졌습니다.

5년 새 한 달이나 앞당겨진 거죠.

일반적으로는 5월 말쯤, 낮 평균기온이 13도 이상으로 올라가야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모기가 벌써부터 이렇게 모습을 드러낸 이유,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입니다.

최근 낮 최고기온이 30도에 육박하는 등 평년을 웃도는 기온이 이어지면서 이른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모기가 활동하기 좋은 환경이 된 거죠.

지난달에는 질병관리청이 전남과 제주도에서 '작은빨간집모기'를 확인하고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는 등 모기의 활동 시계가 계절을 뛰어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민들도 덩달아 모기 대비를 서두르고 있는데요, 각종 모기퇴치제를 구비하기도 하고 방충망을 점검하는 손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구 온난화로 전체 계절의 기온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렇게 되면 "겨울에도 모기들이 살아남아 토착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YTN 나경철 (nkc80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