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계환, 박정훈과 대질 거부..."해병대에 더 큰 상처"

김계환, 박정훈과 대질 거부..."해병대에 더 큰 상처"

2024.05.22. 오전 03:3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공수처는 채 상병 사건의 핵심 인물인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 대한 대질 조사를 시도했지만, 무산됐습니다.

김 사령관은 최고 지휘관과 부하가 대면해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은 해병대에 더 큰 상처가 될 거라며 대질 조사를 거부했습니다.

신지원 기자입니다.

[기자]
같은 날 출석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공수처 건물을 나섭니다.

[김계환 / 해병대 사령관 : (오늘 혹시 대질신문 거부하신 이유가 뭔가요?) …. (오히려 대질 하는 게 해병대에 이롭다고 생각은 안 하셨습니까?) ….]

[김정민 /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법률대리인 : 피의자 신분을 망각하고 불필요한…. 그런 건 본인이 걱정할 일이 아니고요. 사령관으로서는 진실을 말하는 게 가장 군 조직을 보호하고 해병대의 명예를 지키는 것이지….]

공수처는 이른바 'VIP 격노설'을 두고 주장이 엇갈리는 두 사람에 대한 대질조사를 시도했지만, 김 사령관의 거부로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김 사령관 측은 '해병대를 책임지고 있는 최고 지휘관과 부하가 대면해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은 해병대에 더 큰 상처를 주는 일'이라며

본연의 업무 수행에 지장이 우려된다고 대질 거부 사유를 밝혔습니다.

박 전 단장은 지난해 사건을 윗선에 보고하고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 김 사령관에게서 'VIP가 격노했다'는 등의 말을 들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 사령관은 그런 이야기는 들어본 적도, 박 전 단장에게 말한 적도 없다는 입장입니다.

'VIP 격노설'은 실제로 외압이 있었는지, 있었다면 '윗선'은 어디까지인지를 판가름할 주요 쟁점.

이 밖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반응이나 신범철 전 차관의 '해병대 질책 문자'를 놓고도 두 사람의 진술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공수처는 김 사령관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한 뒤 이 전 장관 등 윗선으로 수사를 확대한다는 계획이지만,

대질 조사가 무산되면서 윗선 수사에 차질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신지원입니다.


영상편집 : 전자인
디자인 : 김진호




YTN 신지원 (jiwons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