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운호' 공수처 2기 출범...채 상병 대질 조사 무산

'오동운호' 공수처 2기 출범...채 상병 대질 조사 무산

2024.05.22. 오후 3:5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오동운 신임 공수처장 어제 임명…임기 시작
취임 일성 밝힌 오동운…"국민께 성과로 보답"
대통령 수사도 가능할까…"출범 배경 부합하게"
현충원 참배·취임식…넉 달만 '공백 사태' 해소
AD
[앵커]
오동운 신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이 오늘부터 공식 일정에 나섰습니다.

넉 달 동안 이어진 수장 공백 사태가 해소된 가운데, 채 상병 사망 사건 외압 의혹 등 수사에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되는 데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태원 기자!

[기자]
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입니다.

[앵커]
오동운 공수처장의 취임 일성은 어땠습니까?

[기자]
어제부로 임기를 시작한 오동운 신임 공수처장.

출근길 도어스테핑으로 공식일정을 시작했습니다.

국민을 마음으로부터 섬기고, 또 성과로서 보답하는 공수처가 될 수 있도록 3년의 임기 동안 열심히 하겠다며 취임 일성을 밝혔습니다.

아직은 업무 보고를 받지 못했다면서도 대통령까지 성역 없이 수사할 수 있겠느냐는 물음엔 공수처가 출범한 배경에 부합하게 성실하게 수사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오동운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 빨리 보고를 받고 업무에 차질이 없도록…. 우리 공수처의 조직이 생겨난 여러 맥락이 있지 않습니까? 거기에 부합하게 성실하게 수사를 해나갈 생각입니다.]

용산 대통령실에서 임명장을 직접 받은 오 처장.

국립 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한 뒤, 공수처 청사로 돌아와 취임식을 갖는 것으로 오늘 공식 일정을 마무리합니다.

지난 1월 20일, 전임 김진욱 처장이 퇴임한 지 넉 달 만에 오동운호가 출범하면서 공수처로서도 길었던 수장 공백 사태를 해소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2기 공수처 앞에 놓인 과제, 녹록지 않습니다.

과거 1기 지휘부였던 김 전 처장과 여운국 전 차장이 모두 판사 출신이라는 점을 공수처 수사력 부족의 원인으로 꼽는 의견이 적지 않았는데요,

마찬가지로 판사 출신인 오 처장이 '수사력 논란'을 제대로 떨쳐낼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 만큼 처장과 함께 전반적인 수사를 지휘할 신임 차장으로 어떤 인물을 제청하게 될 지도 관심인데요,

오 처장은 윤석열 대통령과 가까운 검사 출신 인물이 차장으로 제청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직역과 무관하게 수사 역량의 관점에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는 인물로 인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수장 공백 사태가 일단락되면서, 공수처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건 수사도 탄력을 받을지 관심일 텐데요,

채 상병 사건 수사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공수처는 어제(21일) 오전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한 데 이어,

오후엔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렀습니다.

김 사령관은 14시간, 박 전 단장은 9시간가량을 각각 조사받았습니다.

공수처가 같은 날 두 사람을 동시에 부르면서 이른바 'VIP 격노설'을 두고 엇갈리는 주장에 대한 대질조사를 염두에 뒀다는 관측이 나왔는데요,

수사팀에서 실제 대질을 시도했지만 김 사령관의 거부로 무산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김 사령관 측은 해병대가 회복할 수 없는 상태에서 박 전 단장과 대면해 시시비비를 가리는 건,

해병대에 더 큰 상처를 주게 돼 임무 수행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조사를 거부했다고 공수처가 전했는데요.

박 전 단장 측은 대질 조사 불발에 대해 비판했습니다.

[김정민 /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법률대리인 : 피의자 신분을 망각하고 불필요한…. 그런 건 본인이 걱정할 일이 아니고요. 사령관으로서는 진실을 말하는 게 가장 군 조직을 보호하고 해병대의 명예를 지키는 것이지….]

박 전 단장은 지난해 사건을 보고하고 경찰로 넘기는 과정에서 'VIP가 격노했다'는 등의 말을 김 사령관에게서 들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김 사령관은 그런 이야기는 들어본 적도, 박 전 단장에게 말한 적도 없다는 입장입니다.

공수처로서도 'VIP 격노설'은 실제로 외압이 있었는지, 윗선은 어디까지인지를 규명할 수사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대질 조사가 무산되면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 윗선으로 수사를 확대하기는 당분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공수처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김태원 (woni04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